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二十五世
  
  
  
  
二十六世
  
  
  
  
二十七世
  
  
  
  
二十八世
 석진--녕한--윤동            경년
정현(政顯)
자(字)농향(農鄕)
생(生)一九三二년 임신(壬申) 三월 十五일
배(配)수성이씨(隨城李氏)
 부(父)종희(宗熙)
 조(祖)내장원(內藏院)경(卿) 근배(根培)
 증조(曾祖)숭록대부(崇祿大夫) 중추원(中樞院)의관
(議官) 익순(益淳)
 외조(外祖)유홍종(劉洪鍾) 본(本) 강릉(江陵)
 석진--녕한--윤동            형년
응현(膺顯)
자(字)선경(善卿)
호(號)여초(如初)
생(生)一九二六년 병인(丙寅) 十二월 十九일
학력고려대학교영문학과졸업
서예계 원로로서 한국 근현대 서예의 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전서 예서 행
서 초서 해서 등 오서를 비롯하여 육조해
서에 특히 뛰어났으며 一九五○년부터 一○
년 가까이 국회도서관에서 국회보 주간으로
일하였다. 어려서부터 서예와 한학에 조
예가 깊었으며 도서관에서 근무하면서도 숙
명여대 홍익대 성균관대 등에서 한학과 문
학을 강의하였다. 一九五六년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서예연구교육기관 동방연서회 설
립에 참여하였고 一九六九년 동회 이사장으
로 취임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서예잡지
서통(書通)과 서법예술을 창간하였고 한국
전각학회 회장과 국제서법예술연합 한국본부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중국 일본 홍콩 등
에 한국 서예를 알리는 데 이바지하였다.
一九九六년부터는 설악산 백담사 부근으로
거처를 옮겨 글씨 수련에 전념하였으며
一九九九년 교통사고로 오른쪽 손목을 다친
뒤 二○○○년과 二○○一년 왼손으로 쓴
작품을 모아 좌수전(左手展)을 열기도
하였다. 二○一三년 六월에는 강원도 인제
군 북면 용대리에 선생을 기리는 여초김응
현서예관이 건립되었다.대표적인 작품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황악로에 설치된 영남제일
문 현판 김천 직지사 현판 공초 오상순
시비 광개토대왕 비문 등이 있고 서예교본
《동방서범(東方書範)》(三○권 一九九四)
《동방서예강좌》《서연기인》 등을 저술
하였다.
 석진--녕한--윤동            호년
창현(彰顯)
자(字)명향(明鄕)
호(號)백아(白牙)
생(生)一九二三년 계해(癸亥) 四월 二十二일
배(配)평산신씨(平山申氏)
 생(生)一九二三년 계해(癸亥)
 부(父)참봉(叅奉) 현세(鉉世)
 조(祖)비서원(秘書院)승(丞) 정균(政均)
 증조(曾祖)특진관(特進官) 태관(泰寬)
 외조(外祖)장례원(掌禮院)경(卿) 이우황(李愚晃)
본(本) 벽진(碧珍)
 석진--녕한--윤동            재년
충현(忠顯)
자(字)서경(恕卿)
호(號)일중(一中)
생(生)一九二一년 신유(辛酉) 四월 二일
상훈대한민국문화예술상‧예술원상‧보관문화훈장‧
추사서예대상원로작가상‧은관문화훈장
一九四三년 중동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같은
해 一九四三년 서예가로 첫 입문하였다.
이후 一九四九년 문교부 예술위원 서울특별
시 문화위원 등을 역임했고 一九五三년 국
전 심사위원이 되었다. 一九六五년 한국
서예가협회 상임위원이 되었고 동방연서회
(東方硏書會)를 창립 이사장으로서 一천五백
여 회원들에게 서예를 지도하기도 했다.
一九六八년부터 一九七四년까지 서예가협회
회장을 맡았고 一九七五년에는 학교법인 오
산학원 이사장이 되었다. 一九八三년 백악
미술관을 건립하여 대표로 활동하였고 一九
九八년 三월부터 四월까지 서예 개인전을
三차례 열었다.七세 때 안진경체(顔眞卿體)
를 쓰기 시작했고 만년에는 후한(後漢)
조전비서풍(曹全碑書風)의 예서(隸書)를
썼다. 궁체(宮體) 한글은 국내 독보적
인 존재로 알려지고 있다. 김응현과 중계
(仲季)의 형제간으로 그들의 사백(舍伯)
김문현(金文顯) 등 三인 모두 삼절(三
絶)로 불릴 만큼 일가(一家)의 서풍(書
風)을 이루었다.주요작품으로 〈四·一九의
거 희생자 묘비〉 〈권도원수 행주대첩비명
〉 〈이충무공 한산도제승당비〉 〈병천 유
관순 기념비〉 〈예산 윤봉길의사 기념비〉
〈백범 김구선생 묘비〉 〈사육신묘비〉
〈의암손병희선생 묘비〉 〈월남 이상재선생
묘비〉 독립기념관 현판이 있다. 저서로
는 『우리글씨 쓰는 법』‧『근역서보』‧『
서예집성』‧『한글서예』등이 있고 대표 작
품으로 『경복궁의 건축문 현판 글씨』‧『
서울 남산의 안중근 동상 및 충무공 기념
비 글씨』‧『탑공공원 三ㆍ一정신찬양비문』
‧『대통령 이승만과 박정희 묘비 글씨』
등이 있다.
배(配)은진송씨(恩津宋氏)
 생(生)一九二一년 신유(辛酉)
 부(父)내빈(乃彬)
 조(祖)참봉(叅奉) 교순(敎淳)
 증조(曾祖)승지(承旨) 종오(鍾五)
 외조(外祖)참봉(叅奉) 이준익(李峻翼) 본(本) 연
안(延安)
二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