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十五世
  
  
  
  
十六世
  
  
  
  
十七世
  
 상헌--광찬--수항            우겸
창업(昌業)
초간 등재
자(字)대유(大有)
호(號)노가재(老稼齋)
생(生)一六五八년 무술(戊戌) 二월 二일
신유(辛酉)  진사(進士)  
동몽교관(童蒙敎官)  
증(贈)  이조(吏曹)  참의(叅議)  
저서노가재집(老稼齋集)
노가재연행록稼齋燕行錄)
졸(卒)一七二一년 신축(辛丑) 十二월 十二일
그림 「추강만박도(秋江晩泊圖)」(간송미술
관 소장)나 그가 밑그림을 그린 제천 황
강영당 구장의 「우암송선생칠십사세진」같은
작품으로 보아 그림 솜씨가 상당한 수준
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그림에
대한 취향은 서자인 김윤겸(金允謙)에게
이어져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
景山水畵)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배(配)완산이씨(完山李氏)
증(贈)숙부인(淑夫人)
 생(生)一六五六년 병신(丙申)
 졸(卒)一六九三년 계유(癸酉) 二월 二十八일
 부(父)익풍군(益豐君) 속(涑)
 조(祖)양녕군(陽寧君) 경(儆)
 증조(曾祖)임해군(臨海君) 진(珒)
 외조(外祖)군수(郡守) 조시형(趙時馨) 본(本) 임
천(林川)
 묘(墓)장단 하서면 강연리(江漣里) 광대곡(廣大
谷) -- 휴전선 일대로 폐지된 행정구역
.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자좌(子坐) 합폄(合窆)
墓碣아들 신겸(信謙)이 묘표(表)를 짓고 부
인(夫人) 묘지(誌)는 농암공(農岩公)이
지었다
  
  
十八世
 광찬--수항--창업            제행
언겸(彦謙)
초간 등재
자(字)명중(鳴仲)
호(號)술경재(述畊齋)
생(生)一六八六년 병인(丙寅) 一월 十八일
증(贈)  이조(吏曹)  참의(叅議)  
저서술경재유고(述畊齋遺稿)
졸(卒)一七三八년 무오(戊午) 八월 十二일
배(配)안동권씨(安東權氏)
증(贈)숙부인(淑夫人)
 생(生)一六八五년 을축(乙丑)
 졸(卒)一七六五년 을유(乙酉) 一월 三十일
 부(父)참찬(叅贊) 성(녥)
 조(祖)현감(縣監) 증(贈)판서(判書) 시(諟)
 증조(曾祖)찰방(察訪) 증(贈)좌승지(左承旨) 보
(俌)
 외조(外祖)판결사(判決事) 최선(崔渲) 본(本) 해
주(海州)
 묘(墓)홍성군(洪城郡) 고도면(高道面) 쌍천리
(雙川里) 수척(水尺) --홍주 고남면 수
척동(水尺洞)
유좌(酉坐) 합폄(合窆)
墓碣지(誌)는 외손자 일(逸)과 이판(吏判)
이직보(李直甫)가 지었다
 광찬--수항--창업            유행
우겸(祐謙)
초간 등재
자(字)길보(吉甫)
생(生)一六七六년 병진(丙辰) 十一월 九일
증(贈)  이조(吏曹)  참의(叅議)  
저서유고(遺稿)가있다
졸(卒)一七四五년 을축(乙丑) 四월 二十六일
열다섯 살 무렵부터 빼어난 용모가 드러나
기 시작하였으며 모든 언행을 조심하고 삼
갔다. 또 영민하고 기억력이 좋았으며 족
보 지파의 본원을 가까운 데서부터 먼 곳
까지 꿰뚫었다.책 읽기를 좋아하여 병중에
정신을 잃으면서도 책을 읽었다. 또 자
신이 두고두고 읽을 경서와 역사서는 손수
베껴 두고 읽었으며 하루에 공부할 양을
정해 놓고 반드시 공부를 해야 잠이 들
었다.
배(配)고령신씨(高靈申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졸(卒)一六九六년 병자(丙子) 九월 二十七일
 부(父)목사(牧使) 숙(潚)
 조(祖)우의정(右議政) 익상(翼相)
 증조(曾祖)음(蔭)정(正) 증(贈)영의정(領議政)
량(湸)
 외조(外祖)좌의정(左議政) 이단하(李端夏) 본(本)
덕수(德水)
 묘(墓)친산(親山) 아래
합폄(合窆)
墓碣지(誌)는 삼연공(三淵公)이 지었다
배(配)창녕조씨(昌寧曺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一六八二년 임술(壬戌)
 졸(卒)一七五八년 무인(戊寅) 一월 七일
 부(父)덕주(德周)
 조(祖)병절교위(秉節校尉) 위(瑋)
 증조(曾祖)호의(好義)
 외조(外祖)무(武)군수(郡守) 노희원(盧希遠) 본
(本) 광주(光州)
 묘(墓)장단 동파(東坡)
임좌(壬坐)
墓碣갈(碣)은 손자 이익(履翼)이 지었다
 광찬--수항--창흡            
婿이덕재(李德載)
초간 등재
 本전의(全義)
정언(正言)
 부(父)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징하(徵夏)
 系子득배(得培) 대사성(大司成) 生父승지(承
旨) 득부(得孚)
 女박창원(朴昌源) 반남인(潘南人) 정언(正
言) 父참판(叅判) 사정(司正)
 광찬--수항--창흡            
婿윤세량(尹世亮)
초간 등재
 本해평(海平)
 부(父)첨정(僉正) 평(坪)
 系子광(洸) 도정(都正) 生父세헌(世憲)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