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十五世
  
  
  
  
十六世
  
  
  
  
十七世
  
  
  
  
十八世
 광찬--수항--창업            
婿조문명(趙文命)
초간 등재
 本풍양(豊壤)
좌의정(左議政)
 부(父)증(贈)영의정(領議政) 인수(仁壽)
 子재호(載浩) 우상(右相)
 子재연(載淵) 부사(府使)
 광찬--수항--창업            지행
윤겸(允謙)
초간 등재
자(字)극양(克讓)
호(號)진재(眞宰)
생(生)一七一一년 신묘(辛卯)
음(蔭)  소촌(召村)  찰방(察訪)  
졸(卒)一七七五년 을미(乙未) 九월 二일
정선(鄭敾)이 이룬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
畵風)을 이어받아 강희언(姜熙彦) 김응환
(金應煥) 등과 함께 정선파(鄭敾派)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정선이나 정선파 화가
들의 경향에서 벗어나 자신의 화풍을 갖춘
화가로 평가된다. 그는 금강산 한양 근
교 단양 영남 지방 등 명승을 여행하면서
진경산수 제작에 몰두하였다.주로 바다
바위와 물이 흐르는 계곡을 소재로 선택하
였다. 실경을 대담하게 생략한 근대적 화
면을 구성하였다. 또한 수묵과 담채의 가
벼운 표현과 바위의 붓질을 중복하여 입체
감을 가미시킨 표현은 서구적인 수채화를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당대
의 대가인 정선이나 강세황(姜世晃)의 화
격(畵格)에는 이르지 못하였다.대표작으로
는 「동산계정도(東山溪亭圖)」(간송미술관
소장) 『금강산화첩(金剛山畵帖)』(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진경산수화첩(眞景山水
畵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총수산도
(蔥秀山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
남명승기행사경첩(嶺南名勝紀行寫景帖)』(동
아대학교박물관 소장) 등이 전해 온다.
배(配)연안이씨(延安李氏)
 생(生)一七一二년 임진(壬辰)
 졸(卒)一七七七년 정유(丁酉) 十二월 二十五일
 부(父)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육(淯)
 묘(墓)고사산(高沙山)
축좌(丑坐) 합폄(合窆)
 광찬--수항--창업            열행
비겸(卑謙)
초간 등재
자(字)여목(汝牧)
생(生)一六九八년 무인(戊寅)
경자(庚子)  부사과(副司果)  
졸(卒)一七四八년 무진(戊辰) 三월 二十일
묘(墓)양주 고사산(高沙山)
건좌(乾坐)
배(配)순흥안씨(順興安氏)
 부(父)참의(叅議) 세징(世徵)
 묘(墓)같은 둔덕
해좌(亥坐)
 광찬--수항--창업            양행
신겸(信謙)
초간 등재
자(字)존보(尊甫)
호(號)증소(橧巢)
생(生)一六九三년 계유(癸酉) 二월 八일
경자(庚子)  진사(進士)  
증(贈)  이조(吏曹)  판서(判書)  
저서증소집(橧巢集)
졸(卒)一七三八년 무오(戊午) 二월 七일
시호(諡號)문경(文敬)道德博聞(도덕박문) 夙夜做戒
(숙야주계)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
음이 문이요 이른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공경
하고 경계함이 경이다.一八六三
내시교관(內寺敎官)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배(配)완산이씨(完山李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一六九二년 임신(壬申)
 졸(卒)一七二四년 갑진(甲辰) 十二월 十七일
 부(父)좌의정(左議政) 신명(頣命)
 조(祖)교리(敎理) 증(贈)영의정(領議政) 민채
(敏采)
 증조(曾祖)영의정(領議政) 문정공(文貞公) 경흥(敬
興)
 외조(外祖)문(文)판서(判書) 김만중(金萬重) 본
(本) 광산(光山)
 묘(墓)양지 주서면 반정리(半程里)
오좌(午坐) 합폄(合窆)
墓碣지(誌)는 족증손(族曾孫) 매순(邁淳)이
짓고 부인(夫人) 지(誌)는 대사헌(大
司憲) 민우수(閔遇洙)가 지었다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