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안농군학교장(가나안農軍學校長)  용기(容基)


대한민국의 개신교 농촌 운동가이다. 호는 일가 (一家).



경기도 양주군 초부면 봉안리(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태어나 광동학교를 졸업하였다. 1940년 경기도 양주군에 봉안 이상촌(理想村)을 건설하고 1943년에 일제의 감시를 받았던 여운형의 신변을 도와주곤 했었다.



1955년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풍산리(현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에 가나안 농장을 설립하였다. 1962년 가나안 농군학교를 설립하여 많은 농촌 일꾼을 길러 내는 요람으로 만들었다. 1962년 농림부 장관상·향토문화 공로상을 수상했고 1964년 공군 참모총장 감사장과 협조 상패를 1966년 막사이사이상 복지 부문상을 1973년 초대 인촌문화상을 받았다. 그의 철학은 일하지 않으면 먹지도 말라 처럼 노동과 삶의 연관성을 기독교 적으로 해석하여 새마을 운동의 정신적 바탕을 세웠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시중공(학)파
용기(容基)
호(號)일가(一家)
생(生)1909년 기유(己酉) 11월 8일
경력(經歷)가나안 농군학교장
상훈(賞勳)一九六二년 제一회 향토문화공로상 一九六六년 막사이사이상(사회공익부분)
저서(著書)『참 살 길 여기 있다』 『가나안으로 가는 길』
졸(卒)1988년 무진(戊辰) 8월 1일
묘(墓)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二七四번지 가나안농군학교
배(配)김해(金海) 김봉희()
생(生)1913년 계축(癸丑) 9월 10일
졸(卒)1984년 갑자(甲子) 1월 23일
합폄(合窆)
 부(父)의회(義會)
27 세28 세29 세30 세31 세
주한(周漢)영동(榮東)주현(柱顯)성기(聖基)수일(壽鎰)
두일(斗鎰)
용희(用熙)
원기(元基)광일(光鎰)
정일(正鎰)
상일(尙鎰)
동일(動鎰)
명일(明鎰)
운기(運基)문일(文鎰)
영일(永鎰)
무일(武鎰)
정임(貞任)
김정선(金貞善)
용기(容基)종일(鍾鎰)
범일(釩鎰)
평일(겕鎰)
임영철(任永喆)
김기석(金基錫)
인기(寅基)석일(錫鎰)
윤일(潤鎰)
봉은(奉恩)
중현(中顯)도년(道年)봉일(奉鎰)
창일(昌鎰)
흥일(興鎰)
찬일(讚鎰)
진일(鎭鎰)
영희(榮姬)
영옥(榮玉)
광년(廣年)성일(聖鎰)
우년(禹年)부일(扶鎰)
정옥(貞玉)
필년(弼年)천일(天鎰)
홍일(晎鎰)
우일(優鎰)
인경(仁慶)
황갑준(黃甲俊)
신종선(愼宗善)
남흥덕(南興德)
유동(有東)춘현(春顯)태년(泰年)국일(國鎰)
구일(求鎰)
용일(勇鎰)
명일(明鎰)
인숙(仁淑)
학년(學年)주일(周鎰)
신일(信鎰)
민일(民鎰)
윤일(允鎰)
수일(壽鎰)
희년(禧年)순일(淳鎰)
동일(東鎰)
남일(南鎰)
건일(健鎰)
애일(愛鎰)
순애(順愛)
순옥(順玉)
원현(元顯)흥년(興年)
흥옥(興玉)경일(京一)
정일(貞鎰)
복래(福來)
순자(順子)
희자(姬子)
영환(榮煥)성일(成鎰)
선일(先鎰)
종일(鍾鎰)
인자(仁子)
영준(榮俊)천일(天鎰)
형일(亨鎰)
영현(永顯)
기동(基東)백현(伯顯)복년(福年)대일(大鎰)
준일(駿鎰)
옥일(玉鎰)
순일(順鎰)
성년(成年)운일(運鎰)
금일(今鎰)
욱일(旭鎰)
경년(慶年)영일(瑛鎰)
용년(勇年)호일(鎬鎰)
규일(奎鎰)
소일(蘇鎰)
서대한(徐大漢)
오천용(吳千溶)
이상현(李相鉉)
박문선(朴文璿)
장원식(張元植)
함치경(咸致敬)
이순의(李順儀)
이공윤(李公胤)
이재삼(李載三)
이덕윤(李德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