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十世 |
| | | 혁--삼근--계권 영 | 子 | 영수(永銖) | 자(字) | 적옹(積翁) | 생(生) | 세종 一四四六년 병인(丙寅) 八월 十九일 | | 천(薦) 경학(經學) | |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 | 졸(卒) | 一五○二년 임술(壬戌) 七월 十二일 | 묘(墓) | 판관부군조(判官府君兆) 오른쪽
| | 묘갈명은 대제학(大提學) 성현(成俔)이 | | 짓고 진사(進士) 홍언국(洪彦國)이 썼다 | | 세월이 오래되어 비석이 떨어져나가 후손 | | (後孫) 판서(判書) 이재(履載)가 본도 | | (本道)를 안찰할 때 퇴계(退溪) 이황 | | (李滉)의 수서(手書)를 얻어 구본과 비석 | | 을 바꾸고 이 글씨로 본떴다 영돈녕(領敦 | | 寧) 조순(祖淳)이 추지(追識) 하고 봉 | | 조하(奉朝賀) 이양(履陽)이 쓰고 우상 | | (右相) 이교(履喬)가 전(篆) 하였다 | | 유좌(酉坐) | 배(配) | 강릉김씨(江陵金氏) | | 숙인(淑人) | 생(生) | 문종 一四五二년 임신(壬申) | 졸(卒) | 一五二○년 경진(庚辰) 六월 十七일 | 부(父) | 현령(縣令) 박(博) | 조(祖) | 포천(抱川)감무(監務) 종남(從南) | 증조(曾祖) | 전공(典工)판서(判書) 추(錘) | 외조(外祖) | 현감(縣監) 류진(柳瑱) 본(本) 진주 | | (晋州) | 묘(墓) | 부군조(府君兆) 뒤편
| | 합폄(合窆) | | 자료보기 |
| | 十一世 |
| | | 삼근--계권--영수 생락 | 子 | 영(瑛) | 자(字) | 영지(英之) | 호(號) | 삼당(三塘) 낙재(樂齋) | 생(生) | 성종 一四七五년 을미(乙未) | | 병인(丙寅) 문과(文科) | | 역(歷) 사인(舍人) | | 전랑(銓郞) | | 이조(吏曹) 참의(叅議) | | 강원도(江原道) 관찰사(觀察使) | 저서 | 삼당집(三塘集) | | 년보(年譜) | | 무오년(戊午年) 제현(諸賢)의 신원소(伸
| | 寃疏)를 올렸다
| 졸(卒) | 一五二八년 무자(戊子) 七월 十九일 | 배(配) | 상주김씨(尙州金氏) | | 숙부인(淑夫人) | 졸(卒) | 九월 二十一일 | 부(父) | 진사(進士) 광려(光礪) | 조(祖) | 박사(博士) 정용(貞用) | 증조(曾祖) | 좌정언(左正言) 장(張) | 외조(外祖) | 문..(文..) 본(本) 남평(南平) | | 단성김씨(丹城金氏)라고도 한다
| 묘(墓) | 파주시 탄현면 낙하리(洛河里) 이동(伊洞)
| |
| | 묘갈명은 대제학(大提學) 소세양(蘇世讓)
| | 이 짓고 신분(申濆)이 썼다 후 중손(仲
| | 孫)기보(箕報)가 소장하고 있던 퇴계수필
| | (退溪手筆)로 개각(改刻)하고 방손(傍孫)
| | 문곡(文谷) 수항(壽恒)이 전(篆)하
| | 였으며 음기(陰記)가 있는데 문곡이 짓고
| | 썼다 구비(舊碑)가 마모가 심하여 임자
| | 년에 비를 다시 세우고 방손(傍孫) 비서
| | 승(秘書丞) 영한(寗漢)이 추기(追記)를
| | 쓰고 동돈녕(同敦寧) 용진(容鎭)이 썼
| | 다
| | 자좌(子坐) 쌍분(雙墳) | | 자료보기 |
| | 十二世 |
| | | 계권--영수--영 규보 | 子 | 생락(生洛) | 생(生) | 四월 八일 | | 음(蔭) 사포서(司圃署) 별제(別提) | | 증(贈) 사복시(司僕寺) 정(正) | 졸(卒) | 六월 八일 | 배(配) | 고령박씨(高靈朴氏) | 졸(卒) | 九월 二十六일 | 부(父) | 현령(縣令) 증(贈)좌찬성(左贊成) 조 | | (稠) | 조(祖) | 교리(敎理) 증(贈)판서(判書) 계간(季 | | 幹) | 증조(曾祖) | 참의(叅議) 증(贈)참판(叅判) 인효(仁 | | 孝) | 외조(外祖) | 참의(參議) 윤간(尹侃) 본(本) 파평 | | (坡平) | 배(配) | 전주이씨(全州李氏) | 생(生) | 一五一八년 무인(戊寅) | 졸(卒) | 一월 四일 | 부(父) | 흥인수(興仁守) 수례(守禮) | 조(祖) | 옥천부정(玉泉副正) 옥(沃) | 증조(曾祖) | 임영대군(臨瀛大君) 구(璆) | 외조(外祖) | 현감(縣監) 권석(權錫) 본(本) 안동 | | (安東) | 묘(墓) | 파주시(坡州市) 탄현면(炭縣面) 낙하리
| | (洛河里) 금승(金蠅) 동쪽 五리 내곡
| | (內谷) 삼묘(三墓)같은향 표석을 새겨서
| | 묻었다
| | 해좌(亥坐) |
| | 十三世 |
| | 영수--영--생락 극 | 子 | 기보(箕報) | 자(字) | 문경(文卿) | 호(號) | 창균(蒼筠) | 생(生) | 중종 一五三一년 신묘(辛卯) 五월 一일 | | 음(蔭) 회인(懷仁) 현감(縣監) | 저서 | 창균집(蒼筠集)> | | 퇴계선생(退溪先生) 문하에서 수업을 받았
| | 고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 문하에
| | 출입하였다 역양서원(嶧陽書院)에 배향되었
| | 다.회인현감재직시 팔폐소(八弊疏)를 올려
| | 지방행정의 모순과 병폐를 지적하고 그
| | 시정방안을 제시함.
| 졸(卒) | 一五八八년 무자(戊子) 一월 一일 | 배(配) | 영천이씨(永川李氏) | 부(父) | 찰방(察訪) 문량(文樑) | 조(祖) | 효절공(孝節公) 현보(賢輔) | 증조(曾祖) | 현감(縣監) 흠(欽) | 외조(外祖) | 충순위(忠順衛) 이승손(李承孫) 본(本) | | 전의(全義) | 묘(墓) | 장령부군조(掌令府君兆)뒷편
| | 묘표는 족손(族孫) 좨주(祭酒)원행(元行)
| | 이 지었고 음기(陰記)는 부사(府使)
| | 황운조(黃運祚)가 썼다
| | 유좌(酉坐) 합폄(合窆) | | 자료보기 |
| | | 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