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명순--응근 영규 | 子 | 병이(炳怡) | 자(字) | 성가(聖可) | 호(號) | 종오당(從吾堂) | 생(生) | 헌종 一八四一년 신축(辛丑) 七월 十일 | | 음(蔭) 군수(郡守) | 졸(卒) | 광무 一九○○년 경자(庚子) 七월 十一일 | 배(配) | 양주조씨(楊州趙氏) | 생(生) | 헌종 一八四二년 임인(壬寅) | 졸(卒) | 고종 一八八八년 무자(戊子) 四월 八일 | 부(父) | 음(蔭)참판(叅判) 규순(奎淳) | 조(祖) | 음(蔭)목사(牧使) 증(贈)영의정(領議政) | | 진익(鎭翼) | 증조(曾祖) | 음(蔭)군수(郡守) 증(贈)좌찬성(左贊成) | | 완철(完喆) | 외조(外祖) | 문(文)참판(叅判) 이은모(李殷模) 본 | | (本) 덕수(德水) | 묘(墓) | 목천 방축리(防築里)
| | 유좌(酉坐) 쌍분(雙墳) |
| | 이경--명순--응근 용규 | 子 | 병시(炳始) | 자(字) | 성초(聖初) | 호(號) | 용암(蓉庵) | 시호(諡號) | 충문(忠文)으로 자기 몸이 위태로우면서도
| | 임금을받듦(危身奉上)을 충(忠)이라 하
| | 고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
| | (勤學好問)을 문(文)이라 한다
| 생(生) | 순조 一八三二년 임진(壬辰) 十월 三일 | | 무신(戊申) 진사(進士) | | 을묘(乙卯) 문과(文科) | | 춘천(春川) 부사(府使) | | 한각(翰閣) | | 영의정(領議政) | 저서 | 용암집(蓉庵集) | 졸(卒) | 광무 一八九八년 무술(戊戌) 七월 二十六일 | 배(配) | 남양홍씨(南陽洪氏) | | 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순조 一八三○년 경인(庚寅) | 졸(卒) | 一九一○년 경술(庚戌) 二월 二十六일 | 부(父) | 종서(鍾序) | 조(祖) | 증(贈)이조(吏曹)판서(判書) 재원(在元) | | | 증조(曾祖) | 증(贈)이조(吏曹)참판(叅判) 양섭(陽燮) | | | 외조(外祖) | 현령(縣令) 조기항(趙基恒) 본(本) 가 | | 림(嘉林) | 묘(墓) | 양주군 광석면 추교리(楸橋里)
| | 표(表)는 종질(從侄) 종규(宗圭)가 짓
| | 고 손자 태진(泰鎭)이 썼다. 전면(前面)
| | 은 손자 승진(升鎭)이 썼다
| | 계좌(癸坐) 합폄(合窆) | | 자료보기 |
| | | 이경--명순--홍근 | 婿 | 윤태건(尹泰健) | 本 | 파평윤(坡平尹) | | 승지(承旨) | 부(父) | 민성(敏成) | 生父 | 부사(府使) 재성(載成) | 系子 | 관식(觀植) 生父태일(泰一) | 女 | 이용식(李龍植) 완산인(完山人) 父음령 | | (蔭令) 용하(鏞夏) | 女 | 이중협(李重協) 완산인(完山人) 진사(進 | | 士) 父봉사(奉事) 용휴(容休) |
| 二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