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색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사람으로 이동하거나 해당 설명이 나옵니다.


을미보        이름             이전   다음
  
  
  
  
十五世
  
  
  
  
十六世
 대효--상헌--광찬            창집
수항(壽恒)
자(字)구지(久之)
호(號)문곡(文谷)
시호(諡號)문충(文忠)으로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 함을(勤學好問) 문(文)이
라 하고 청렴하고 방정하며 공정하고 바름
을(兼方公正) 충(忠)이라 한다
생(生)인조 一六二九년 기사(己巳)
병술(丙戌)  진사(進士)  
신묘(辛卯)  문과(文科)  
대제학(大提學)  
영의정(領議政)  
저서문곡집(文谷集)
사가독서(賜暇讀書)를 받아 호당(湖堂)에
서 공부하였다.일찍이(嘗嚴斥) 윤휴(尹鐫)
등이사리에 어긋나는 일을 하자(悖理積변)
흉당(凶黨)을 매우 엄하게 다스렸다.
一六八九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
이 재집권하자 전남 진도(珍島)에 유배된
후 위리안치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다.
갑술년(甲戌) 복관(復官) 되었다 .시
문과 글재주에 능했으며 반시 진사시 알성
문과 춘당대문과 중시 등 五번 과거에 급
제하였다.양주(楊州)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진도(珍島)의 옥병서원(玉屛書院) 영
암(靈巖)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 배향
(配享) 되었다
졸(卒)숙종 一六八九년 기사(己巳)
배(配)안정나씨(安定羅氏)
정경부인(貞敬夫人)
 생(生)인조 一六三○년 경오(庚午)
 졸(卒)숙종 一七○三년 계미(癸未) 六월 二十二일
 부(父)목사(牧使) 성두(星斗)
 조(祖)참의(叅議) 만갑(萬甲)
 증조(曾祖)보덕(輔德) 급(級)
 외조(外祖)판서(判書) 김남중(金南重) 본(本) 경
주(慶州)
 묘(墓)남양주시(南楊州市) 이패동(二牌洞) 산十

묘지(誌)는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이 짓고 묘갈(碣) 지문(誌文)을 사용하
여 곡운공(谷雲公)이 예서(隸書)로 쓰고
묘표(表) 는 아들 창흡(昌翕)이 지었

합폄(合窆)
자료보기
 대효--상헌--광찬            
수흥(壽興)
 출위(出爲) 본생백부(本生伯父) 광혁(光爀) 후(后)
출파(出派)부사공(상관)파
  
  
十七世
 상헌--광찬--수항            제겸
창집(昌集)
자(字)여성(汝成)
호(號)몽와(夢窩)
시호(諡號)충헌(忠獻)으로 자기 몸이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을(危身奉上) 충(忠)이라 하
고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있음을(嚮忠
內德) 헌(獻)이라 한다.
생(生)인조 一六四八년 무자(戊子) 十월 二十九일
계축(癸丑)  진사(進士)  
갑자(甲子)  문과(文科)  
영의정(領議政)  
기사(耆社)  
저서몽와집(夢窩集)
국조자경편(國朝自警編)
영조세실묘정(英祖世室廟庭)에 배향(配享)
.경종 때 연잉군(후일의 영조)의 세제
대리청정을 주장했다가 소론에 의해 역모로
몰려 이이명 조태채 이건명 및 아들 김
제겸 손자 김성행 등과 함께 사사되어 이
를 신임사화라 부른다.
졸(卒)一七二二년 임인(壬寅) 五월 二일
배(配)반남박씨(潘南朴氏)
정경부인(貞敬夫人)
 생(生)인조 一六四六년 병술(丙戌)
 졸(卒)숙종 一七一六년 병신(丙申) 十一월 六일
 부(父)세남(世楠)
 조(祖)대사헌(大司憲) 황(潢)
 증조(曾祖)시정(寺正) 동언(東彦)
 외조(外祖)참판(叅判) 이행진(李行進) 본(本) 전
의(全義)
 묘(墓)여주시(驪州市) 대신면(大神面) 초현리
(草峴里)
묘지(誌)는 좌의정(左相) 민진원(閔鎭遠)
이 짓고 묘표전면(墓表前面)은 아들 제
겸(濟謙)이 썼다. 부인(夫人) 묘지(誌)
는 동생 창흡(昌翕)이 지었다. 四世
묘정(墓庭)에 비(碑)를 세우고 추기(追
記)하였다. 표석(表石) 에 행적을 아직
도 새기지 않았다
을좌(乙坐) 합폄(合窆)
자료보기
  
 상헌--광찬--수증            
婿유명건(兪命健)
 本기계유(杞溪兪)
목사(牧使)
 부(父)대사헌(大司憲) 철(㯙)
 女이진성(李晉聖) 전의인(全義人) 참봉(叅
奉) 父군수(郡守) 우춘(宇春)
 상헌--광찬--수증            
婿신진화(申鎭華)
 本평산신(平山申)
 부(父)판서(判書) 정(晸)
 女윤득구(尹得龜) 해평인(海平人) 도사(都
事) 父도명(道明)
十八世
 광찬--수항--창집            성행
제겸(濟謙)
자(字)필형(必亨)
호(號)죽취(竹醉)
시호(諡號)충민(忠愍)으로 임금을 섬기는 데 절의를
다한 것을(事君盡節曰) 충(忠)이라 하
고 국사에서 어려운 일을 당한 것을(在
國逢艱曰) 민(愍)이라 한다.
생(生)숙종 一六八○년 경신(庚申) 五월 十三일
을유(乙酉)  진사(進士)  
기해(己亥)  문과(文科)  
우부승지(右副承旨)  
증(贈)  좌찬성(左贊成)  
저서죽취고(竹醉稿)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一七二二년 아버지가 노론四대신의 한 사람
으로서 소론의 김일경(金一鏡)·목호룡(睦
虎龍) 등에 의해 사사되자 울산에 유배
뒤에 부령(富寧)으로 이배되었다가 사사당
하였다.조성복(趙聖復)·김민택(金民澤)과
함께 신임사화 때 죽은 삼학사(三學士)
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一七二五년(영조
一) 관작이 복구되었다. 명(命)부조
(不祧)
배(配)은진송씨(恩津宋氏)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생(生)숙종 一六七九년 기미(己未)
 졸(卒)영조 一七三二년 임자(壬子) 十二월 二十七일
 부(父)도사(都事) 병원(炳遠)
 조(祖)정랑(正郞) 광식(光烒)
 증조(曾祖)문정공(文正公) 준길(浚吉)
 외조(外祖)장령(掌令) 이형(李逈) 본(本) 완산
(完山)
 묘(墓)여주시(驪州市) 대신면(大神面) 초현리
(草峴里) 충헌공조(忠獻公兆)
아들 원행(元行)이 묘표(表)를 지었다
손좌(巽坐) 합폄(合窆)
자료보기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