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十五世 |
| | 생해--원효--상준 수익 | 子 | 광위(光煒) | 자(字) | 회보(晦甫) | 생(生) | 선조 一五八二년 임오(壬午) 十一월 十일 | | 경술(庚戌) 진사(進士) | | 진위(振威) 현령(縣令) | 졸(卒) | 인조 一六三七년 정축(丁丑) 四월 七일 | 배(配) | 죽산안씨(竹山安氏) | |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선조 一五八二년 임오(壬午) | 졸(卒) | 광해 一六一○년 경술(庚戌) 八월 十四일 | 부(父) | 목사(牧使) 창(昶) | 조(祖) | 감사(監司) 방경(邦慶) | 증조(曾祖) | 증(贈)참판(叅判) 순(珣) | 외조(外祖) | 현령(縣令) 유순(兪洵) 본(本) 기계 | | (杞溪)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 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선조 一五九九년 기해(己亥) | 졸(卒) | 숙종 一六九五년 을해(乙亥) 二월 十六일 | 부(父) | 군수(郡守) 대신(大信) | 조(祖) | 세우(世愚) | 증조(曾祖) | 부사과(副司果) 전(銓) | 외조(外祖) | 사용(司勇) 이총(李叢) 본(本) 전주 | | (全州) | 묘(墓) | 양주 와공리(瓦孔里) 참판공조(參判公兆)
| | 오른쪽 같은둔덕
| | 표(表)는 재종질(再從侄) 문곡(文谷)
| | 수항(壽恒)이 지었고 재종질(再從侄) 곡
| | 운(谷雲) 수증(壽增)이 썼다
| | 묘좌(卯坐) | | 자료보기 |
| | | 十六世 |
| | 원효--상준--광위 성대 | 子 | 수익(壽翼) | 자(字) | 성로(星老) | 호(號) | 청악(靑岳) | 시호(諡號) | 충경(忠景)으로 임금을 섬기는 데 절의를
| | 다한 것을(事君盡節) 충(忠)이라 하고
| | 옳은 것을 지키고 굴복하지 않음을
| | (守義不屈)을 경(景)이라 한다.
| 생(生) | 선조 一六○○년 경자(庚子) | | 갑자(甲子) 사마양시(司馬兩試) | | 경오(庚午) 문과(文科) | | 의주(義州) 부윤(府尹) | 저서 | 청악집(靑岳集) | | 인조(仁祖) 병자년 청나라 군사들이침입해
| | 오자 어가(禦駕) 를 호종하여 남한산성
| | (南漢山城) 에 들어가서 척화(斥知) 뜻
| | 을 담은 상계(上啓) 를 두번이나 올리자
| | 묶어서 청군영에 보내려 하자 대간(臺諫)
| | 이극력 반대하여 삼학사(三學士) 가
| | 보내지면서 공에게는 초야에서 지내도록 특
| | 명을 내렸다가 의주부윤(義州府尹) 으로
| | 명하였다
| 졸(卒) | 현종 一六七三년 계축(癸丑) 十一월 八일 | 배(配) | 능성구씨(綾城具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선조 一六○二년 임인(壬寅) | 졸(卒) | 광해 一六一七년 정사(丁巳) 二월 十三일 | 부(父) | 경역(經歷) 헌(憲) | 조(祖) | 목사(牧使) 사흠(思欽) | 증조(曾祖) | 문(文)부사(府使) 관(灌) | 외조(外祖) | 찬성(贊成) 신잡(申磼) 본(本) 평산 | | (平山) | 묘(墓) | 사정공조(寺正公兆) 좌강(左岡) 에서 정
| | 사 二월 一七일 강화 선원면 냉정리(冷井
| | 里)로 이장하였다
| | 묘표는 아들 성대(盛大)가 기록하였다
| | 신좌(辛坐) | 배(配) | 완산이씨(完山李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선조 一六○二년 임인(壬寅) | 묘(墓) | 선영국내(先塋局內)
| | 자료보기 |
| | | 十七世 |
| | 상준--광위--수익 시서 | 系子 | 성대(盛大) | 생부(生父) | 수일(壽一) | 자(字) | 호연(號然) | 호(號) | 지명당(知命堂) | 생(生) | 효종 一六五一년 신묘(辛卯) 三월 十일 | 졸(卒) | 숙종 一七一○년 경인(庚寅) 十월 一일 | 배(配) | 파평윤씨(坡平尹氏) | |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인조 一六四八년 무자(戊子) | 졸(卒) | 숙종 一六八七년 정묘(丁卯) 七월 二十六일 | 부(父) | 문(文)사복시(司僕寺)정(正) 협(悏) | 조(祖) | 증(贈)승지(承旨) 원경(源慶) | 증조(曾祖) | 도사(都事) 상형(商衡) | 외조(外祖) | 남궁환(南宮煥) 본(本) 함열(咸悅) | 배(配) | 경주이씨(慶州李氏) | |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현종 一六七○년 경술(庚戌) | 졸(卒) | 영조 一七五○년 경오(庚午) 三월 十九일 | 부(父) | 성(聖) | 조(祖) | 부사과(副司果) 공윤(公尹) | 증조(曾祖) | 부호군(副護軍) 수득(壽得) | 외조(外祖) | 이효삼(李孝三) 본(本) 전주(全州) | 묘(墓) | 충경공조좌강(忠景公兆左岡) 아래
| | 묘지는 찬선(贊善) 어유봉(魚有鳳)이 지
| | 었고 묘표는 족제(族弟) 삼연(三淵) 창
| | 흡(昌翕)이 짓고 손자 면행(勉行)이 썼
| | 다
| | 사좌(巳坐) 합폄(合窆) |
| | | 상준--광욱--수일 | 婿 | 구흥주(具興柱) | 本 | 능성구(綾城具) | 부(父) | 목사(牧使) 문제(文濟) | 系子 | 엽(燁) 生父명주(明柱) |
| 十八世 |
| 광위--수익--성대 백행 | 子 | 시교(時敎) | 자(字) | 정숙(正叔) | 생(生) | 숙종 一六九三년 계유(癸酉) 八월 十일 | | 가선대부(嘉善大夫) | |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 졸(卒) | 정조 一七七九년 기해(己亥) 八월 六일 | 배(配) | 함종어씨(咸從魚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숙종 一六九二년 임신(壬申) | 졸(卒) | 영조 一七五一년 신미(辛未) 四월 二十四일 | 부(父) | 국구(國舅)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유구 | | (有龜) | 조(祖) | 우윤(右尹) 증(贈)영의정(領議政) 사형 | | (史衡) | 증조(曾祖) | 감사(監司) 증(贈)찬성(贊成) 진익(震 | | 翼) | 외조(外祖) | 이만모(李萬模) 본(本) 전의(全義) | 묘(墓) | 양주 금촌(金村)
| | 곤좌(坤坐) 합폄(合窆) |
| | 광위--수익--성대 현행 | 子 | 시서(時叙) | 자(字) | 이숙(彛叔) | 생(生) | 숙종 一六八一년 신유(辛酉) 三월 二十八일 | | 신축(辛丑) 진사(進士) | 졸(卒) | 경종 一七二四년 갑진(甲辰) 一월 五일 | 배(配) | 은진송씨(恩津宋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숙종 一六七七년 정사(丁巳) | 졸(卒) | 영조 一七六一년 신사(辛巳) 七월 一일 | 부(父) | 현감(縣監) 이석(彛錫) | 조(祖) | 기선(基善) | 증조(曾祖) | 대군(大君)사부(師傅) 시영(時瑩) | 외조(外祖) | 현령(縣令) 최세영(崔世榮) 본(本) 전 | | 주(全州) | 묘(墓) | 충경공조(忠景公兆) 좌(左)
| | 묘지(誌)는 도암(陶菴) 이재(李縡)가
| | 지었고(撰) 갈명(碣銘)은 남당(南塘)
| | 한원진(韓元震)이 짓고(撰) 묘표(墓表)
| | 는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이 지었다
| | .좌상(左相) 서명균(徐命均)이 썼다
| | 정좌(丁坐) 합폄(合窆) | | 자료보기 |
| | | 十九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