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색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사람으로 이동하거나 해당 설명이 나옵니다.


을미보        이름             이전   다음
  
  
  
  
十五世
  
  
  
  
十六世
  
  
  
  
十七世
 상준--광욱--수일            시민
성후(盛後)
자(字)중유(仲裕)
호(號)초창(蕉窓)
생(生)효종 一六五五년 을미(乙未) 六월 十七일
임술생원(生員)  
호조(戶曹)  정랑(正郞)  
저서초창집(蕉窓集)
졸(卒)숙종 一七一三년 계사(癸巳) 十월 十七일
배(配)임천조씨(林川趙氏)
증(贈)숙부인(淑夫人)
 생(生)효종 一六五六년 병신(丙申)
 졸(卒)영조 一七二六년 병오(丙午) 十一월 二十一일
 부(父)관찰사(觀察使) 원기(遠期)
 조(祖)군수(郡守) 증(贈)참판(叅判) 시형(時
馨)
 증조(曾祖)정(正) 증(贈)승지(承旨) 희진(希進)
 외조(外祖)영의정(領議政) 이경석(李景奭) 본(本)
완산(完山)
 묘(墓)충경공조(忠景公兆) 오른쪽
묘지는 영의정(領議政) 이의현(李宜顯)이
짓고 묘표는 족형(族兄) 삼연공(三淵公)
이 지었다
병좌(丙坐) 합폄(合窆)
자료보기
 상준--광욱--수일            
성대(盛大)
 출위(出爲) 백부(伯父) 수익(壽翼) 후(后)
  
  
十八世
 광욱--수일--성후            면행
시민(時敏)
자(字)사수(士修)
호(號)동포(東圃)
생(生)숙종 一六八一년 신유(辛酉) 十월 十三일
음(蔭)  진산(珍山)  군수(郡守)  
저서동포집(東圃集)
효행(孝行) 으로써 이조참의(吏曺참議)
를 증직 받았고 자손의 귀(貴) 로 이조
참판(吏曺참判) 이추가로 증직되었다 또
의행(懿行) 으로 대신이경연에서 상주하여
특별히 좌참찬(左참贊) 에 증직되었다
졸(卒)영조 一七四七년 정묘(丁卯) 三월 二十일
묘(墓)휴암공조(休庵公兆) 남쪽 제二강(岡) 에
있다.
묘표는 영의정 김재로(金在魯) 가 짓고
대사헌 홍봉조(洪鳳祚) 가 썼다
간좌(艮坐)
묘표(墓表)가 있다
배(配)해주최씨(海州崔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숙종 一六八一년 신유(辛酉)
 졸(卒)숙종 一七○二년 임오(壬午) 一월 七일
 부(父)판결사(判決事) 선(渲)
 조(祖)승지(承旨) 유해(有海)
 증조(曾祖)진사(進士) 전(澱)
 외조(外祖)황처양(黃處良) 본(本) 평해(平海)
 묘(墓)같은 둔덕
묘좌(卯坐)
배(配)창원황씨(昌原黃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숙종 一六八三년 계해(癸亥)
 졸(卒)영조 一七三九년 기미(己未) 二월 五일
 부(父)현감(縣監) 만(뀔)
 조(祖)도정(都正) 신구(藎耉)
 증조(曾祖)찬(澯)
 외조(外祖)정랑(正郞) 류축(柳軸) 본(本) 문화
(文化)
 묘(墓) 합폄(合窆)
자료보기
  
 광욱--수일--성최            
婿윤심해(尹心海)
 本파평윤(坡平尹)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부(父)정랑(正郞) 봉휘(鳳輝)
 子지후(趾厚) 재후(載厚)
 女조명수(趙明需) 임천인(林川人) 만호(萬
戶) 父필선(弼善) 정순(正純)
 광욱--수일--성최            
婿서문택(徐文澤)
 本대구서(大邱徐)
주부(主簿)
증(贈)찬성(贊成)
 부(父)직장(直長) 증(贈)판서(判書) 진이(晋
履)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