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五世
  
  
 음--구--심            
학(鶴)
병인 등재
자(字)운거(雲擧)
호(號)한재(寒齋)
시중(侍中)  
사고려이시중사원위재북적이국유어하설어강공분
연각보왈이장보부가여해복열원주왈이국역동이대
왈폐방예락문물무괴칭소중화부당비견어유설간주
노명본국주지왕가기절음종지둔삼척섭성진기배주
상하증산은연구김자체부망본야(仕高麗以侍中使
元位在北狄二國游魚下雪上公忿然却步曰衣章甫不
可與卉服列元主曰爾國亦東夷對曰幣邦禮樂文物無
愧稱小中華不當比肩於游雪間主怒命本國誅之王嘉
其節陰縱之遁三陟燮姓秦其排書上下增刪隱然具金
字軆不忘本也) 최문헌충(崔文憲冲) 구재집
(九齋集)순조 정축 후손 내진 성진 유필
감로명복기성(純祖丁丑後孫乃鎭成鎭籲蹕戡路
命復其姓)김학은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원의 황제가 의관정제한 자신을 남만ㆍ서
융 등 거의 벌거벗은 오랑캐족과 동렬의
좌석에 앉게하자 『우리는 소중화로서 의관
문물이 중국에 버금가는데 어찌 이런 자리
에서 앉힐 수 있느냐』고 항의하며 원제에
게 상석에 앉혀줄것을 요구했다.격노한 원
황제가 『당장 목을 베라』고 지시했으나
신하들은 목을 벨 경우 고려의 사신들이
오지않을 것을 우려 환국시켜 충렬왕으로
하여금 죽이도록 했다.그러나 충렬왕은 김
학의 기개를 높이 사 원나라에는 처형한
것처럼 소문을 낸뒤 김학의 성을 바꿔 숨
어살도록 했다.「김」자의 맨아랫쪽 「일」
획을 위쪽의 「인」획에 더하고 「이」를
덧붙여 「진」씨로 사성 강원도 삼척으로
보낸 것이다.최충의 구재집에 실려있다.
순조때정축(一八一七년)에 후손 내진 성진
등이 순조의 행차때 길위에서 읍소하여 복
성을 허락받았다.
묘(墓)황해도 토산 우봉 계해년 종중 합의로 경
기도 광주시 쌍령리 금촌에 설단 二○○六
년 도시 개발로 인하여 충북 음성군 음성
읍 사정리에 묘단 설치
六世
  
  
 구--심--학            
규(珪)
병인 등재
학력예의판서(禮儀判書)
묘(墓)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묘단에 위패 봉안
七世
  
 ----            
생(生)
초간 등재
자(字)원수(元水)
예의소승(禮儀少丞)  
묘(墓)부(府) 서쪽 서오리(鋤午里) 실전(失傳)
되었는데 을축 어가곡산(漁稼谷山) 五
三-一번지에 설단을하고 一○월 八일을 회
전일(會奠日)로 정하였으나 제단(祭壇)이
도시개발(都市開發)로 一九九四년 갑술
九월 二一일 와룡면 가야리(佳野里) 산一
四七-一번지로 이단(移壇) 묘갈을 세우고
봉향(奉享) 하고 있다
자좌(子坐) 합폄(合窆)
 심--학--규            곤옥
경(鏡)
병인 등재
학력종부판서(宗簿判書)
배(配)익산이씨(益山李氏)
 부(父)승봉랑(承奉郎) 애(崖)
 묘(墓)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묘단에 위패 봉안
八世
 ----생            
침(琛)
 ----생            
궤(軌)
초간 등재
묘(墓)호소동산(虎嘯洞山)
자좌(子坐)
배(配)안동권씨(安東權氏)
유인(孺人)
 부(父)위(韙)
 묘(墓)一九九四년갑술 가야리(佳野里) 산一四七-
一번지 삼단소(三壇所) 합단(合壇) 제단
을 옮기었다
해좌(亥坐)
상석(床石)이 있다
 학--규--경            양비
곤옥(崑玉)
병인 등재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  
수안파(遂安派) 가첩(家牒) 에는 곤(崑)
을 군(君) 이라 하였으나 군(君)으
로 바꿀수 없어 뒷날의 고증을 기다린다
묘(墓)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묘단에 위패 봉안
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