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기--남수--희 근중 | 子 | 자(資) | | 초간 등재 | | 승사랑(承仕郞) | | 위위(衛尉) | | 주부(注簿) | | 동정(同正) | 배(配) | 상락김씨(上洛金氏) | 부(父) | 승사랑(升仕郞) 도염령(都染令)동정(同正) | | 윤간(允侃) | 조(祖) | 국학박사(國學博士) 옹(雍) | 증조(曾祖) | 호장정위(戶長正位) 여황(呂黃) | 외조(外祖) | 금오위(金吾衛)별장(別將)동정(同正) 김 | | 응부(金應孚) 본(本) 안동(安東) | | 김응부는 원주김(原州金)이라고도 한다 김
| | 거공(金巨公)의 자(子) 윤간(允侃)을
| | 보면 윤간(允侃)의 女김자(金資)라 하였
| | 는데 창강(滄江) 조속(趙涑)의 보록(譜
| | 錄)에는 어떤 근거로 사위라 하였는지 알
| | 지 못하겠다라 하였다
|
| 五世 |
| | | | 남수--희--자 득우 | 子 | 근중(斤重) | | 초간 등재 | 구휘(舊諱) | 의(義) | | 정의대부(正義大夫) | |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 | 치사(致仕) | | 일설에는 별장(別將)을 역임했다고도 한다
| 배(配) | 함창김씨(咸昌金氏) | | 함창군부인(咸昌郡夫人) | 부(父) | 문하평리판전공시사(門下評理判典工寺事) 구 | | (龜) | 조(祖) | 급제검교예빈경(及第檢校禮賓卿) 극손(克孫) | 증조(曾祖) | 국학좨주보문서학사상호군(國學祭酒寶文署學士 | | 上護軍) 만(鏋) | 외조(外祖) | 좌우위보승산원(左右衛保勝散員) 권계(權契) | | 본(本) 안동(安東) | | 극손(克孫)의 개휘(改諱)는 중정(中正)
| | 이고 만(鏋)의 구휘(舊諱)는 영(穎)이
| | 다구와 만의 관직은 추봉(追封)된 것이고
| | 구는 상호군으로도 추봉 되었다
| 묘(墓) | 실전(失傳)
|
| 六世 |
| | | | 희--자--근중 혁 | 子 | 득우(得雨) | | 초간 등재 | | 중현대부(中顯大夫) | | 전농정(典農正) | 묘(墓) | 안동시 서쪽 三○리 풍산 서쪽 소유동(小
| | 有洞)에 있다 소요동(逍遙洞) 이라고도
| | 한다 .
| | 간좌(艮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 참판(叅判) 수증(壽增)이 | | 개수(改竪)하고 묘표를 썼다 | 배(配) | 풍산류씨(豊山柳氏) | | 풍산군부인(豊山郡夫人) | 부(父) | 서운관정(書雲觀正) 치사(致仕) 개(開) | 조(祖) | 창평(昌平)현령(縣令) 난옥(蘭玉) | 증조(曾祖) | 은사급제(恩賜及第) 백(伯) | 외조(外祖) | 흥위위(興威衛)보승산원(保勝散員) 임송연 | | (林松衍) 본(本) 예천(醴泉) | | 개의 구휘는 기(琦)이다
| 묘(墓) | 안동시 서쪽 선수동(先水洞) 북쪽 오례산
| | (五禮山) 부군묘소와 十리가 되지 않는다
| | 자좌(子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참판(參判)수증(壽增)이 개수 | | (改竪)하고 묘표를 썼다
|
| 七世 |
| 자--근중--득우 | 婿 | 권진(權軫) | | 초간 등재 | 本 | 안동(安東) | | 고려(高麗)문과(文科) | | 조선(朝鮮)영의정(領議政) | 부(父) | 감찰규정(監察糾正) 희정(希正) | 子 | 맹경(孟慶) 도사(都事) | 子 | 맹도(孟度)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子 | 맹정(孟貞) 현령(縣令) | | 전농정(典農正) 호적을 보면 일녀(一女)
| | 영가군부인김씨(永嘉郡夫人金氏) 夫우헌납
| | (右獻納) 권진(權軫) 一녀를 낳았다.문
| | 화류보(文化柳譜) 에는 실(室) 여산송씨
| | (礪山宋氏) 三남四녀가 있다. 이자료에
| | 의거한 즉 김부인(金夫人)이 초취(初娶)
| | 인듯 하다.영가군부인이 낳은 딸이 소사
| | (召史)이다.
|
| | | | 자--근중--득우 삼근 | 子 | 혁(革) | | 초간 등재 | 구휘(舊諱) | 용장(用莊) | 호(號) | 아옹(啞翁) | | 통사랑(通仕郞) | | 합문봉례(闔門奉禮) | | 고려공민왕(恭愍王) 一九년 정몽주(鄭夢周)
| | 이색(李穡) 이인복(李仁復)과 같이
| | 신돈(辛旽)의 죄(罪)에 대해 소를 올려
| | 탄핵하였다 이듬해 신돈(辛旽)이 복주
| | (伏誅) 되었다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부(父) | 좌우위(左右衛)보승낭장(保勝郎將) 감찰규 | | 정(監察糾正) 희정(希正) | 조(祖) | 별장(別將) 용일(用一) | 증조(曾祖) | 중문지후(中門祇侯) 혁(奕) | 외조(外祖) | 판도총랑(版圖摠郞) 김가기(金可器) 본 | | (本) 언양(彦陽) | | 구보에 따르면 三남 二녀라고 하나 二녀는
| | 잃어버려서 기록하지 않는다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상리리
| | (上里里) 시묘동(侍墓洞) 배(配)가 좌측
| | (左側)
| | 자좌(子坐) 쌍분(雙墳)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 참판(叅判)수증(壽增)이 개 | | 수(改竪)하고 썼으나 뒷날 훼절되어서 후 | | 손(後孫)판서(判書)학순(學淳)이 안동부 | | 사(知府)로 있을때 새 돌로 바꾸고 옛글 | | 자 대로 세겼다 |
| 八世 |
| | 근중--득우--혁 맹구 | 子 | 삼우(三友) | | 초간 등재 | | 선공감(繕工監) 주부(主簿)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수리(水
| | 里) 진곡(眞谷)
| | 자좌(子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 형규(衡圭)가 개수(改竪) | | 하였다 | 배(配) | 풍산류씨(豊山柳氏) | 부(父) | 좌군사정(左軍司正) 홍(洪) | 조(祖) | 공조(工曹)전서(典書) 종혜(從惠) | 증조(曾祖) | 검교예빈경(檢校禮賓卿)판도판서(版圖判書) | | 보(葆) | 외조(外祖) | 진사(進士) 증(贈)호조(戶曹)참판(叅判) | | 김관(金琯) 본(本) 일선(一善) | 묘(墓) | 예천군(禮泉郡) 남포촌(南浦村) 석현(石
| | 峴) 구보(舊譜) 묘좌
| | 진좌(辰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 | 근중--득우--혁 원룡 | 子 | 삼익(三益) | | 초간 등재 | 호(號) | 어담(漁潭) | | 세조초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같이 단종
| | (端宗) 복위를 모의한 혐의를 받아 지곡
| | (枝谷)에 숨어 살았다. 뒷사람들이 이로
| | 인하여 마을 이름을 어담이라 하였다.
| | 세보(世譜)의 일계정오(佚系正誤) 전농정
| | 공(典農正公) 호장(戶帳)에 태사부군(太
| | 師府君) 후 삼세략사(三世略史) 등 수기
| | (手記) 가 있다
| 배(配) | 일직손씨(一直孫氏) | 부(父) | 광우(光佑)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상리리
| | (上里里) 권산정(權山亭) 앞산
| | 갑좌(甲坐) 합폄(合窆) |
| | 근중--득우--혁 계권 | 子 | 삼근(三近) | | 초간 등재 | 호(號) | 사은(謝隱) | 생(生) | 一三九○년 경오(庚午) | | 기해(己亥) 생원(生員) | | 선교랑(宣敎郞) | | 비안(比安) 현감(縣監) | 졸(卒) | 一四六五년 을유(乙酉) 八월 | | 중남(仲男) 계행실기(係行實記)중 봉화현
| | (奉化縣)선생안(先生案)에 부군(府君)의
| | 휘(諱)가 기재되어 있고 호(號)는 사
| | 은(謝隱)이라 실려있다 舊譜에는 부군(府
| | 君)이 단지 二남 一녀로 손득로(孫得魯)
| | 와 반여생(潘呂生) 두 사람이 기록되지
| | 않았던것을 이번에 문화류씨(文化柳氏)의
| | 보록(譜錄)과 조안음(趙安陰) 종운(從耘)
| | 의 씨족원류(氏族源流)에 역시 二인이
| | 있어서 二인을 기록한다
| 묘(墓) | 예천군(醴泉郡) 호명면(虎嗚面) 직산리
| | (稷山里) 직곡(稷谷)구보(舊譜)에는 묘좌
| | 라 하였다
| | 간좌(艮坐) 연분(連墳)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 참판(叅判) 수증(壽增)이 | | 짓고 썼다 | 배(配) | 상락김씨(上洛金氏) | | 의인(宜人) | 생(生) | 一三九三년 계유(癸酉) | 졸(卒) | 一四六八년 무자(戊子) 十二월 | 부(父) | 삭령감무(朔寧監務) 전(腆) | | 계행실기에 부가 삭령감무 전이라 실려있다
| 묘(墓) | 부군묘앞 한발 앞에 있다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후손(後孫)판서(判書)이양(履陽)이 경상 | | 감사때 개수(改竪)하고 썼다
|
| 九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