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계상--세안 응태 | 子 | 현석(玄錫) | | 초간 등재 | 자(字) | 사일(士逸) | 생(生) | 一六五七년 정유(丁酉) | 졸(卒) | 一七○五년 을유(乙酉) 八월 二十六일 | 배(配) | 축산전씨(竺山全氏) | 생(生) | 一六五八년 무술(戊戌) | 졸(卒) | 十一월 十一일 | 부(父) | 직장(直長) 오장(五長) | 조(祖) | 영기(英耆) | 증조(曾祖) | 이신(以愼) | 외조(外祖) | 구업(具嶪) 본(本) 능성(綾城)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천면(豊川面) 어담리
| | (漁潭里) 남자동(南子洞)
| | 간좌(艮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二十世 |
| | | | 계상--세안--현석 우순 | 子 | 응태(應泰) | | 초간 등재 | 자(字) | 형백(亨伯) | 생(生) | 一六八三년 계해(癸亥) | 졸(卒) | 一七六八년 무자(戊子) 五월 十八일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소산리
| | (素山里) 역동(嶧洞) 동쪽 기슭 호암(狐
| | 巖)
| | 경좌(庚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배(配) | 순흥안씨(順興安氏) | 생(生) | 一六八二년 임술(壬戌) | 졸(卒) | 一七四九년 기사(己巳) 十二월 十四일 | 부(父) | 몽상(夢祥) | 조(祖) | 석희(錫禧) | 증조(曾祖) | 도전(道全) | 외조(外祖) | 최중기(崔重基) 본(本) 충주(忠州)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천면(豊川面) 도양리
| | (道陽里) 외증산(外甑山)
| | 갑좌(甲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 二十一世 |
| 세안--현석--응태 | 婿 | 박경헌(朴景憲) | | 경술 등재 | 本 | 죽산(竹山) | 부(父) | 재대(再大) | 系子 | 증삼(增三) | 女 | 조거길(趙居吉) 한양인(漢陽人) |
| | | | 세안--현석--응태 양근 | 系子 | 우순(宇淳) | | 경술 등재 | 생부(生父) | 인석(麟錫) | 자(字) | 시회(時會) | 생(生) | 一七○四년 갑신(甲申) 十二월 六일 |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 졸(卒) | 一七八一년 신축(辛丑) 三월 九일 | | 영조무신(英宗戊申) 정희량(鄭希亮)의 반
| | 역사건이 일어나자 문중 자제들을 규합(糾
| | 合)하여 역적을 토벌하자는 격문을 전하였
| | 는데 도내에 으뜸이 되었으나 난을 평정한
| | 일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동야집에
| | 先考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府君行狀라는 편명
| | 으로 행장이 실려맀다.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소산리
| | (素山里) 학두봉(鶴頭峯)
| | 축좌(丑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배(配) | 동래정씨(東萊鄭氏) | | 증(贈)숙부인(淑夫人) | 생(生) | 一七○六년 병술(丙戌) | 졸(卒) | 一七二九년 기유(己酉) 一월 八일 | 부(父) | 태채(泰采) | 조(祖) | 지감(之鑑) | 증조(曾祖) | 요빈(堯賓) | 외조(外祖) | 생원(生員) 남형회(南亨會) 본(本) 영 | | 양(英陽) | 묘(墓) | 안동시(安東市) 북후면(北後面) 신전리
| | (薪田里) 학가산(鶴駕山) 용당(龍堂)
| | 경좌(庚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 증(贈)숙부인(淑夫人) | 생(生) | 一七○八년 무자(戊子) | 졸(卒) | 一七五五년 을해(乙亥) 七월 二十六일 | 부(父) | 집(輯) | 조(祖) | 군수(郡守) 성구(聖矩) | 증조(曾祖) | 뢰(賚) | 외조(外祖) | 김지원(金至遠) 본(本) 종인(宗人) | 묘(墓) | 안동시(安東市) 서후면(西後面) 대두서리
| | (大斗西里) 대두송(大豆松) 서쪽 기슭
| | 건좌(乾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 二十二世 |
| | | 현석--응태--우순 | 婿 | 김홍교(金弘敎) | | 경술 등재 | 本 | 광산(光山) | 부(父) | 광협(光協) | 子 | 백규(百揆) |
| | 현석--응태--우순 병관 | 系子 | 양근(養根) | | 경술 등재 | 생부(生父) | 응남(應南) | 자(字) | 선오(善五) | 호(號) | 동야(東埜) | 생(生) | 一七三四년 갑인(甲寅) 十二월 二十四일 | | 만녕전(萬寧殿) 별검(別檢) | | 전적(典籍) | | 병조(兵曹) 낭관(郎官) | | 형조(刑曹) 참의(叅議) | 저서 | 동야집(東埜集)14권6책이있다. | 졸(卒) | 一七九九년 기미(己未) 五월 十六일 | | 사리에 맞게 간함을 잊지 않아서 전관원들
| | 이꺼려 하였다.一七七三년 시폐(時弊: 당
| | 시에 정치적·사회적인 문제나 폐단)를 논
| | 하는 소를 올려 문제가 되자 낙향하였다가
| | 이듬해 지평(持平)에 복직되었다. 一七
| | 八六년(정조一○)에는 옛 사람의 선행을
| | 그린 그림을 세자에게 바쳐 모범으로 삼도
| | 록 하여 정조의 칭송을 받았다.뒤에 현풍
| | ·음죽(陰竹)의 현감을 역임하였고 一七九
| | 九년 통정대부에 가자되었다.
| 묘(墓) | 예천군(醴泉郡) 감천면(甘泉面) 대맥리
| | (大麥里) 대산촌(大山村) 뒤 본생조(本生
| | 兆) 오른쪽
| | 해좌(亥坐) | 墓碣 | 묘갈이 있는데 족조(族祖) 봉조하(奉朝賀) | | 이익(履翼) 이 지었다 | 배(配) | 전주이씨(全州李氏) | | 숙부인(淑夫人) | 생(生) | 一七三二년 임자(壬子) | 졸(卒) | 一八一一년 신미(辛未) 六월 二十九일 | 부(父) | 지송(志松) | 조(祖) | 생원(生員) 여항(如沆) | 증조(曾祖) | 참의(叅議) 형상(衡祥) | 외조(外祖) | 진사(進士) 정희수(鄭熙叟) 본(本) 초 | | 계(草溪)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 소산리
| | (素山里) 사지촌(笥池村) 뒤 정산(井山)
| | 곤좌(坤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 二十三世 |
| | | | 응태--우순--양근 도균 | 系子 | 병관(炳觀) | | 경술 등재 | 생부(生父) | 성근(性根) | 자(字) | 광빈(光賓) | 호(號) | 정산(井山) | 생(生) | 一七六七년 정해(丁亥) 十二월 十二일 | | 증(贈)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 저서 | 정산유고(井山遺稿) | 졸(卒) | 一八二五년 을유(乙酉) 四월 十八일 | | 효행과 학행으로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았
| | 다가 대신이 주청하여 사헌부지평(司憲府持
| | 平)을 증직받았다.
| 묘(墓) | 안동시(安東市) 북후면(北後面) 신전리
| | (薪田里) 학가산(鶴駕山) 선조(先兆) 아
| | 래
| | 유좌(酉坐) | | 비석(碑石)이 있다 | 배(配) | 진성이씨(眞城李氏) | 생(生) | 一七六八년 무자(戊子) | 졸(卒) | 一八三四년 갑오(甲午) 十월 二十一일 | 부(父) | 휘근(彙謹) | 조(祖) | 양순(養淳) | 증조(曾祖) | 구석(龜錫) | 외조(外祖) | 대사간(大司諫) 류정원(柳正源) 본(本) | | 전주(全州) | 묘(墓) | 안동시(安東市) 북후면(北後面) 신전리
| | (薪田里) 학가산(鶴駕山) 애련사(艾蓮寺)
| | 서쪽기슭
| | 해좌(亥坐) |
| 二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