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직--인순--수근 | 婿 | 조병석(趙秉奭) | | 무인 등재 | 本 | 양주(楊州) | 부(父) | 별검(別檢) 치순(致淳) | 系子 | 신희(臣熙) 참판(叅判) 生父참판(叅判) | | 병학(秉學) | 女 | 이복영(李復永) 전주인(全州人) 정언(正 | | 言) 父음정(蔭正) 정모(鼎謨) |
| | 이직--인순--수근 정규 | 子 | 병국(炳國) | | 계사 등재 | 자(字) | 경용(景用) | 호(號) | 영어(穎漁) | 생(生) | 一八二五년 을유(乙酉) 十二월 二十二일 | | 경술(庚戌) 문과(文科) | | 규장각(奎章閣) 제학(提學) | | 영의정(領議政) | 저서 | 예릉지문악장(睿陵誌文樂章) | 졸(卒) | 一九○四년 갑진(甲辰) 十二월 十三일 | 시호(諡號) | 충문(忠文)
事君盡節(사군진절) 勤學好
| | 問(근학호문)
임금을 섬김에 충절을 다
| | 함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
| | 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一九○五
| 배(配) | 한산이씨(韓山李氏) | |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一八二三년 계미(癸未) | 졸(卒) | 一八五二년 임자(壬子) 二월 二十三일 | 부(父) | 목사(牧使) 최재(냷在) | 조(祖) | 목사(牧使) 희연(羲淵) | 증조(曾祖)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운영(運永) | 외조(外祖) | 심희지(沈禧之) 본(本) 청송(靑松) | 배(配) | 풍천임씨(豊川任氏) | |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一八三五년 을미(乙未) | 졸(卒) | 一九一四년 갑인(甲寅) 閏 七월 十六일 | 부(父) | 백원(百源) | 조(祖) | 장사랑(將仕郞) 회상(誨常) | 증조(曾祖) | 부윤(府尹) 육(焴) | 외조(外祖) | 김재상(金載常) 본(本) 연안(延安) | 배(配) | 파평윤씨(坡平尹氏) | | 정경부인(貞敬夫人) | 생(生) | 一八三九년 기해(己亥) | 졸(卒) | 一八七一년 신미(辛未) 八월 十四일 | 부(父) | 군수(郡守) 수연(守淵) | 조(祖) | 면흠(勉欽) | 증조(曾祖) | 증(贈)승지(承旨) 배언(培彦) | 외조(外祖) | 진사(進士) 김용원(金用遠) 본(本) 경 | | 주(慶州) | 묘(墓) | 정문공(正文公) 조차(兆次)
| | 손좌(巽坐) 합폄(合窆) | 墓碣 | 표석(表石) 음기(陰記)는 부군(府君)이 | | 지으셔서 수장(壽藏)이 하셨고 손자 용 | | 진(容鎭)이 추기(追記) 하고 조카 승규 | | (昇圭)가 썼으며(書) 지(誌)는 손자 | | 용진(容鎭)이 지었다. 도시개발로 인하여 | | 묘는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 | | 물관으로 이전하여 가묘를 세웠다. |
| | 二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