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번--생해--대효            광찬
系子상헌(尙憲)
초간 등재
생부(生父)극효(克孝)
자(字)숙도(叔度)
호(號)청음(淸陰)
생(生)一五七○년 경오(庚午) 六월 三일
경인(庚寅)  진사(進士)  
병신(丙申)  문과(文科)  
무신(戊申)  문과(文科)  
광주(廣州)  목사(牧使)  
대사성(大司成)  
대사간(大司諫)  
병조(兵曹)  참판(叅判)  
대사헌(大司憲)  
함경도(咸慶道)  관찰사(觀察使)  
대제학(大提學)  
형조(刑曹)  판서(判書)  
예조(禮曹)  판서(判書)  
공조(工曹)  판서(判書)  
이조(吏曹)  판서(判書)  
좌의정(左議政)  
증(贈)  영의정(領議政)  
저서야인담록(野人談錄)
독례수초(讀禮隨鈔)
남사록(南槎錄)
청음집(淸陰集)
졸(卒)一六五二년 임진(壬辰) 六월 二十五일
시호(諡號)문정(文正)勤學好問(근학호문) 以正服之
(이정복지)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정도로써 사람들을
복종시킨다 함이 정이다.一六五二
선조경인년 진사(宣祖庚寅進士)에 급제하고
병신년 문과(宣祖丙申文科)에 급제하였다
. 광해무신중시(光海戊申重試)에 입격하고
호당(湖堂)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으며 대제학(文衡)을 맡았다. 청백리
(淸白吏)에 뽑혔다. 인조병자년(仁祖丙子
年)에 인조를 호종(扈從)하여 남한산성
(南漢山城)에 들어가서 화의를 반대하고(斥
和議) 통곡하며(哭裂) 국서(國書)를 찢
었다. 심양 감옥(拘瀋獄)에서 六년간 갇
혀있었으나 끝내 굽히지 않았다(終不屈).
을유환국(乙酉還國)에 좌상(左相)이되었
다. 壽八十三세 영상(領相)을 증직 받았
다. 효종세실묘정(孝宗世室廟庭) 배향(配
享) 양주석실(楊州石室) 송도숭양(松都崧
陽) 정주(定州) 봉명(鳳鳴) 제주(濟州)
귤림(橘林) 종성(鍾城) 종산(鍾山)
상주(尙州) 서산(西山) 정평(定平)
망덕서원(望德書院) 안동(安東) 서간(西
磵) 광주(廣州) 현절(顯節) 의주(義州)
기충(紀忠) 예안(禮安) 운계사(雲溪
祠)에 배향(配享)되어 있다.一六六一년
(현종 二)효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墓)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石室) 신천
부군조(信川府君兆) 다음 一九八七년 二월
一二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一○○호로 지
정되었다
계좌(癸坐)
墓碣지(誌)는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갈(碣)은 손자(孫子) 수증(壽增)
이 썼다. 명(銘)은 자술(自述) 하였
고 후서(後序)는 우암(尤菴)이 짓고
동춘(同春) 송준길(宋浚吉)이 썼다.
배(配)성주이씨(星州李氏)
정경부인(貞敬夫人)
 생(生)一五六九년 기사(己巳)
 졸(卒)一六四一년 신사(辛巳) 十一월 二十七일
 부(父)음(蔭)선전관(宣傳官) 증(贈)판서(判書)
의로(義老)
 조(祖)별제(別提) 증(贈)참의(叅議) 형우(亨
佑)
 증조(曾祖)주부(主簿) 증(贈)통례원(通禮院)좌통례
(左通禮) 창(敞)
 외조(外祖)승지(承旨) 증(贈)위천군(威川君) 김백
순(金伯醇) 본(本) 위성(威城)
 묘(墓)부군조(府君兆) 서쪽
간좌(艮坐)
묘표(墓表)가 있다
十五世
  
  
  
 생해--대효--상헌            수증
系子광찬(光燦)
초간 등재
생부(生父)상관(尙寬)
원파(元派)부사공(상관)파
자(字)사회(思晦)
생(生)一五九七년 정유(丁酉) 十二월 十九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정묘(丁卯)  생원(生員)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공조(工曹)  참의(叅議)  
증(贈)  영의정(領議政)  
졸(卒)一六六八년 무신(戊申) 二월 二十四일
여러 주군을 다스려서(歷典州郡) 성망(聲
績)이 있었다.享年七十二세
배(配)연안김씨(延安金氏)
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
 생(生)一五九六년 병신(丙申)
 졸(卒)一六三三년 계유(癸酉) 十월 十三일
 부(父)목사(牧使) 증(贈)승지(承旨) 래(琜)
 조(祖)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제남(悌男)
 증조(曾祖)사정(司正) 증(贈)영의정(領議政) 오
(祦)
 외조(外祖)군수(郡守) 정묵(鄭默) 본(本) 초계
(草溪)
 묘(墓)양주(楊州) 금촌(金村) 구소곡(龜沼谷)
병좌(丙坐)에서 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 덕소리(德沼里) 산五번지
로 이장
합폄(合窆)
墓碣지(誌)는 현석(玄石) 박세채(朴世采)가
짓고 갈(碣)과 표(表)는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이 지었다. 부인지(夫
人誌)는 계곡(溪谷) 장유(張維)가 지었
다.
배(配)청주한씨(淸州韓氏)
정부인(貞夫人)
 생(生)一六一三년 계축(癸丑) 十월 十二일
 졸(卒)一六九九년 기묘(己卯) 三월 一일
 부(父)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혜민서(惠民署)
주부(主簿) 영(泳)
 조(祖)진사(進士) 세성(世誠)
 증조(曾祖)통정대부(通政大夫) 행(行)이조(吏曹)참
의(叅議) 급(汲)
 외조(外祖)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훈융(訓戎)첨
절제사(僉節制使) 조응순(趙應順)
 묘(墓)청풍 도사곡(陶砂谷) 충북 제원군 금수산
(錦繡山) 제천시(堤川市) 수산면(水山面)
하천리(下川里) 六九-二
十六世
  
  
  
 대효--상헌--광찬            창국
수증(壽增)
초간 등재
자(字)연지(延之)
호(號)곡운(谷雲)
생(生)一六二四년 갑자(甲子) 四월 十四일
경인(庚寅)  생원(生員)  
공조(工曹)  참판(叅判)  
저서곡운집(谷雲集)
졸(卒)一七○一년 신사(辛巳) 三월 四일
춘천(春川) 춘수영당(春睡影堂)에 배향
(配享)
배(配)창녕조씨(昌寧曺氏)
정부인(貞夫人)
 생(生)一六二七년 정묘(丁卯)
 졸(卒)一六七一년 신해(辛亥) 二월 十三일
 부(父)문충공(文忠公) 한영(漢英)
 조(祖)참판(叅判) 문수(文秀)
 증조(曾祖)주부(主簿) 경인(景仁)
 외조(外祖)참의(叅議) 이지선(李祗先) 본(本) 성
주(星州)
 묘(墓)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 덕소
리(德沼里) 석실(石室) 선조내(先兆內)
경좌(庚坐) 합폄(合窆)
墓碣묘표(表)는 작은 아들 삼연(三淵) 창흡
(昌翕)이 짓고 기문(記)은 문형(文衡)
죽천(竹泉) 김진규(金鎭圭)가 썼다
十七世
  
  
  
 상헌--광찬--수증            치겸
창국(昌國)
초간 등재
자(字)원계(元桂)
생(生)一六四四년 갑신(甲申) 二월 十四일
병오(丙午)  진사(進士)  
성천(成川)  부사(府使)  
졸(卒)一七一七년 정유(丁酉) 四월 十六일
배(配)완산이씨(完山李氏)
 생(生)一六四八년 무자(戊子)
 졸(卒)一七一四년 갑오(甲午) 五월 十九일
 부(父)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정영(正英)
 조(祖)판서(判書) 경직(景稷)
 증조(曾祖)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류간(惟侃)
 외조(外祖)류기선(柳基善) 본(本) 문화(文化)
 묘(墓)서울시 서대문구 가좌동 --양주 가좌동
(可坐洞)
건좌(乾坐) 합폄(合窆)
十八世
 광찬--수증--창국            낙행
의겸(宜謙)
초간 등재
자(字)의보(義甫)
생(生)一六八四년 갑자(甲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졸(卒)一七五四년 갑술(甲戌)
배(配)전주이씨(全州李氏)
 부(父)총사(摠使) 우항(宇恒)
 묘(墓)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 덕소
리(德沼里) 석실(石室)
 광찬--수증--창국            찬행
익겸(益謙)
초간 등재
자(字)월진(月進)
호(號)잠재(潛齋)
생(生)一七○一년 신사(辛巳)
을묘(乙卯)  진사(進士)  
상의원(尙衣院)  별제(別提)  
증(贈)  사복시(司僕寺)  정(正)  
저서잠재고(潛齋稿)
졸(卒)一七四七년 정묘(丁卯) 十월 七일
배(配)창원황씨(昌原黃氏)
 부(父)도정(都正) 세구(世耉)
배(配)전주이씨(全州李氏)
 생(生)一七○八년 무자(戊子)
 졸(卒)一七七五년 을미(乙未) 七월 二十七일
 부(父)좌의정(左議政) 관명(觀命)
 묘(墓)선조(先兆) 아래
신좌(辛坐)
 광찬--수증--창국            상행
최겸(最謙)
초간 등재
배(配)함열남궁씨(咸悅南宮氏)
 부(父)현감(縣監) 제(埞)
 묘(墓)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 덕소
리(德沼里) 석실(石室)
 광찬--수증--창국            문행
系子치겸(致謙)
초간 등재
생부(生父)창흡(昌翕)
자(字)약허(若虗)
생(生)一六七七년 정사(丁巳) 十월 十三일
문의(文義)  현령(縣令)  
금구(金溝)  현령(縣令)  
돈녕부(敦寧府)  도정(都正)  
졸(卒)一七四七년 정묘(丁卯) 十二월 二十六일
배(配)박경혜(朴敬惠)
 本반남(潘南)
숙부인(淑夫人)
 생(生)一六七七년 정사(丁巳)
 졸(卒)一七一七년 정유(丁酉) 五월 二十三일
 부(父)금창부위(錦昌副尉) 태정(泰定)
 모(母)전주(全州) 경녕군주(慶寧郡主)
 조(祖)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세면(世冕)
 증조(曾祖)경역(經歷) 해(垓)
 외조(外祖)소현세자(昭顯世子)
소현세자의 둘째딸 경녕군주가 어머니이며
五남 四녀중 막내딸이다.
 묘(墓)석실(石室) 선조(先兆)
자좌(子坐)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