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十五世
  
  
  
  
十六世
  
  
  
  
十七世
  
 상헌--광찬--수항            용겸
창즙(昌緝)
초간 등재
자(字)경명(敬明)
호(號)포음(圃陰)
생(生)一六六二년 임인(壬寅) 九월 二十八일
갑자(甲子)  생원(生員)  
왕자사부(王子師傅)  
예빈시(禮賓寺)  주부(主簿)  
증(贈)  이조(吏曹)  판서(判書)  
저서포음집(圃陰集)
징회록(澄懷錄)
졸(卒)一七一三년 계사(癸巳) 五월 三일
배(配)남양홍씨(南陽洪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一六六二년 임인(壬寅)
 졸(卒)一七四二년 임술(壬戌) 六월 二十九일
 부(父)증(贈)참의(叅議) 처우(處宇)
 조(祖)감사(監司) 명일(命一)
 증조(曾祖)영의정(領議政) 서봉(瑞鳳)
 외조(外祖)현감(縣監) 조상변(趙相抃) 본(本) 풍
양(豊壤)
 묘(墓)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 과천 반포리
(盤浦里)
유좌(酉坐) 합폄(合窆)
  
  
十八世
 광찬--수항--창즙            
婿이망지(李望之)
초간 등재
 本전주(全州)
 부(父)문형(文衡) 좌의정(左議政) 관명(觀命)
 女서명화(徐命華) 대구인(大邱人) 父종대
(宗大)
 광찬--수항--창즙            적행
용겸(用謙)
초간 등재
자(字)제대(濟大)
호(號)교교재(嘐嘐齋)
생(生)一七○二년 임오(壬午) 五월 二十三일
음(蔭)  공조(工曹)  판서(判書)  
저서효효재집(嘐嘐齋集)
졸(卒)一七八九년 기유(己酉) 二월 七일
신임사화에 의해 백부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될 때 전주로 유배되었다가 四년 만에
풀려났다. 그 뒤 이재(李縡)·박필주
(朴弼周)와 더불어 경서와 예설을 강론하였
다. 一七四五년(영조 二一)에 경행(經行)
으로 만녕전참봉(萬寧殿參奉)에 제수되고
이듬 해 공릉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
으나 모두 나아가지 아니하였다.一七四八년
에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제수된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一七七八년 특례로 우
승지에 임명된 후 소대(召對)에 자주 나
아가서 군신간의 정의가 두터웠는데 경사백
가(經史百家)로부터 국조헌장(國朝憲章)에
이르기까지 두루 토론하였다.권신 홍국영
(洪國榮)의 뒷받침으로 추천된 송덕상(宋
德相)의 사람됨에 대한 왕의 물음을 받고
그의 부적함을 진언하기도 하였다. 一七
八四년에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에 오
르고 一七八六년에 공조판서가 되었다.
배(配)청송심씨(靑松沈氏)
증(贈)정부인(貞夫人)
 생(生)一七○一년 신사(辛巳)
 졸(卒)一七六四년 갑신(甲申) 七월 二十六일
 부(父)참판(叅判) 기(琪)
 조(祖)참의(叅議) 수량(壽亮)
 증조(曾祖)부윤(府尹) 황(녴)
 외조(外祖)음(蔭)감사(監司) 김진옥(金鎭玉) 본
(本) 광산(光山)
 묘(墓)진천 이곡면 사지(獅池)
건좌(乾坐) 합폄(合窆)
 광찬--수항--창업            
婿이협(李浹)
경술 등재
 本덕수(德水)
 부(父)겸진(謙鎭)
 子지모(志模)
 子영모(永模)
 女박세용(朴世瑢) 영해인(寧海人) 父첨지중
추부사(僉知中樞府事) 만득(萬得)
 女원해진(元海鎭) 원성인(原城人) 父중(重)
 女윤제무(尹濟茂) 무송인(茂松人) 父지항
(志恒)
 광찬--수항--창업            
婿이관(李灌)
초간이회(李澮)
초간 등재
 本덕수(德水)
찰방(察訪)
 부(父)판서(判書) 기진(箕鎭)
 女신광두(申光斗) 평산인(平山人) 父희(曦)
 女윤정후(尹鼎厚) 파평인(坡平人) 父첨지중
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해(心海)
十九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