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장--이순--한근 보균 | 子 | 병오(炳五) | | 계사 등재 | 자(字) | 규여(奎汝) | 생(生) | 一八一四년 갑술(甲戌) | 졸(卒) | 一八三四년 갑오(甲午) 五월 三十일 | 묘(墓) | 선조내(先兆內) 축좌
| | 축좌(丑坐) | 배(配) | 초계정씨(草溪鄭氏) | 생(生) | 一八一○년 경오(庚午) | 부(父) | 주영(周永) |
| | 이장--이순--문근 | 女 |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 | | 무인 등재 | 생(生) | 一八三七년 정유(丁酉) 陽 四월 二十七일 | 졸(卒) | 一八七八년 무인(戊寅) 陽 六월 十二일 | | 一八三七년(헌종 三) 한양 순화방(順化坊)
| | 에서 태어났다. 초간택에 오르기 며칠
| | 전부터 날마다 상서로운 무지개가 집 앞에
| | 서 보이더니 물을 담은 대야가 광채 속에
| | 잠겨 보는 사람들이 모두 이상하게 여겼
| | 다고 한다. 一八五一년(철종 二) 왕비에
| | 책봉되었고 一八五八년 원자를 낳았으나
| | 곧 죽었다. 철인왕후는 비록 안동 김씨
| | 일문에서 나온 왕비였지만 친정을 두둔하지
| | 않았고 정치에 간여하지도 않았다. 철인
| | 왕후는 말 수가 적고 쉽게 내면을 드러내
| | 지 않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一八七八년
| | (고종 一五) 五월 창경궁 양화당에서 죽었
| | 다.
| 묘(墓) |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예릉
| 부(夫) | 철종장황제(哲宗章皇帝) | 本 | 전주(全州) | 子 | 융준(隆俊) |
| | 이장--이순--문근 흥규 | 子 | 병필(炳弼) | | 무인 등재 | 자(字) | 경양(景亮) | 호(號) | 능파(能坡) | 생(生) | 一八三九년 기해(己亥) 八월 十일 | | 을묘(乙卯) 문과(文科) | | 한각(翰閣) | | 예조(禮曹) 판서(判書) | | 좌의정(左議政) | 졸(卒) | 一八七○년 경오(庚午) 四월 三일 | 시호(諡號) | 효정(孝貞)慈惠愛親(자혜애친) 淸白自守
| | (청백자수)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 |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一八
| | 七五
| 배(配) | 청송심씨(靑松沈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八三六년 병신(丙申) | 졸(卒) | 一八六一년 신유(辛酉) 七월 四일 | 부(父) | 음(蔭)승지(承旨) 능구(能矩) | 조(祖) | 증(贈)이조(吏曹)참판(叅判) 영조(榮祖) | 증조(曾祖) | 부사(府使) 공저(公著) | 외조(外祖) | 군수(郡守) 송우연(宋友淵) 본(本) 은 | | 진(恩津) | 묘(墓) | 충순공조(忠純公兆) 왼쪽
| | 갑좌(甲坐) 합폄(合窆) | 배(配) | 기계유씨(杞溪兪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八四六년 병오(丙午) | 졸(卒) | 一八八六년 병술(丙戌) 七월 十五일 | 부(父) | 현령(縣令) 치형(致亨) | 조(祖) | 진사(進士) 승환(承煥) | 증조(曾祖) | 건주(健柱) | 외조(外祖) | 이의신(李義信) 본(本) 덕수(德水) |
| 二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