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十五世 |
| | 생해--극효--상용 수인 | 子 | 광현(光炫) | | 초간 등재 | 자(字) | 회여(晦汝) | 호(號) | 수북(水北) | 생(生) | 一五八四년 갑신(甲申) 九월 二十二일 | | 임자사마양시(壬子司馬兩試)계해(癸亥) 문과(文科) | | 한원(翰苑) | | 부제학(副提學) | | 대사헌(大司憲) | | 순천(順天) 부사(府使) | 저서 | 수북유고(水北遺稿) | | 및 | | 년보(年譜)가있다 | 졸(卒) | 一六四七년 정해(丁亥) 七월 二十三일 | 배(配) | 청송심씨(靑松沈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五八三년 계미(癸未) | 졸(卒) | 一六六九년 기유(己酉) 六월 十일 | 부(父) | 진사(進士) 율(慄) | 조(祖) | 목사(牧使) 신겸(信謙) | 증조(曾祖) |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청릉부원군(靑陵府 | | 院君) 증(贈)영의정(領議政)익효공(翼孝 | | 公) 강(鋼) | 외조(外祖) | 한양군(漢陽君) 증(贈)찬성(贊成) 이흥 | | 준(李興畯) 본(本) 한산(韓山) | 묘(墓) | 홍성 갈산((葛山) 고도면(高道面) 여사
| | 곡(餘思谷)
| | 갑좌(甲坐) 합폄(合窆) | 墓碣 | 신도비(神道碑)는 숙부 청음선생(淸陰先生) | | 이 짓고 종질 참판(叅判) 수증(壽增) | | 이 썼다. 전(篆)은 증손 시찬(時粲)이 | | 지었고(識) 시길(時吉)이 썼다 묘표 | | (表)는 종질 수항(壽恒)이 짓고 음기(陰 | | 記)는 증손 시보(時保)가 썼다 |
| | | 생해--극효--상용 수홍 | 子 | 광환(光煥) | | 초간 등재 | 자(字) | 회숙(晦叔) | 생(生) | 一五七九년 기묘(己卯) 十월 五일 | | 경술(庚戌) 생원(生員) | | 돈녕부(敦寧府) 도정(都正) | 졸(卒) | 一六四二년 임오(壬午) 十一월 九일 | 배(配) | 전주이씨(全州李氏) | | 숙부인(淑夫人) | 생(生) | 一五七九년 기묘(己卯) | 졸(卒) | 五월 二十一일 | 부(父) | 승지(承旨) 철(鐵) | | 부(父) 철(鐵)은 간행이 잘못된 것을
| | 이제 청음선생(淸陰先生)이 지은 이공(李
| | 公) 갈명(碣銘)을 따라 바로 잡는다
| 묘(墓) | 문충공조(文忠公兆)
| | 유좌(酉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十六世 |
| | 극효--상용--광현 성우 | 子 | 수인(壽仁) | | 초간 등재 | 자(字) | 원보(元甫) | 생(生) | 一六○八년 무신(戊申) 七월 十三일 | | 수원(水原) 부사(府使) | | 증(贈) 이조(吏曹) 참의(叅議) | 졸(卒) | 一六六○년 경자(庚子) 六월 十九일 | | 상원(祥原) 치소에서 청인(淸人)이 남한
| | 산성(南漢山城)을 포위하였다는 소식을 듣
| | 고 원수진(元帥陣)에 참가하였으나 김자점
| | (金自點)이 군영만 지킬뿐 군부(君父)를
| | 구원할 뜻이없었다. 급히 분격하여 혼자
| | 진격하였으나 적의 숫자가 많아 대적할 수
| | 없자 기묘한 계책을 써서 적을 격파하여
| | 적의 예봉(銳鋒)을 차단할 수 있었다.
| | 효종이 설분할 뜻을 가지고 수원방어사
| | (水原防禦使)로 탁용하였으나 크게 쓰이지
| | 못하였다.
| 배(配) | 창녕성씨(昌寧成氏) | | 숙부인(淑夫人) | 생(生) | 一六○七년 정미(丁未) | 졸(卒) | 一六五五년 을미(乙未) 三월 二十八일 | 부(父) | 현감(縣監) 홍헌(弘憲) | 조(祖) | 정언(正言) 자제(子濟) | 외조(外祖) | 별좌(別坐) 허사맹(許思孟) 본(本) 양 | | 천(陽川) | 묘(墓) | 홍성 서부(西部) 이수동(梨樹洞) 배위는
| | 같은산 다른 기슭에 있다
| | 자좌(子坐) | 墓碣 | 묘지(墓誌)는 손자 시보(時保)가 지었고 | | 묘갈(墓碣)은 우상(右相) 이의현(李宜 | | 顯)이 지었으며 부제학(副提學) 김진상 | | (金鎭商)이 쓰고 양쪽 기슭에 각각 묘표가 | | 있다 손자 시보(時保)가 음기(陰記)를 | | 지었다 |
| | | 극효--상용--광환 성운 | 子 | 수홍(壽弘) | | 초간 등재 | 자(字) | 하보(夏甫) | 생(生) | 一五九八년 무술(戊戌) 一월 三일 | | 갑자(甲子) 진사(進士) | | 호조(戶曹) 참판(叅判) | 졸(卒) | 一六八一년 신유(辛酉) 八월 二十三일 | 배(配) | 진주소씨(晋州蘇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五九八년 무술(戊戌) | 졸(卒) | 二월 二十九일 | 부(父) | 교리(敎理) 광진(光震) | 묘(墓) | 선조(先兆) 아래
| | 합폄(合窆) |
| 十七世 |
| | 상용--광현--수인 시걸 | 子 | 성우(盛遇) | | 초간 등재 | 자(字) | 제이(際而) | 호(號) | 기옹(沂翁) | 생(生) | 一六三○년 경오(庚午) 十월 十六일 | | 임진(壬辰) 진사(進士) | | 증(贈) 이조(吏曹) 참판(叅判) | 졸(卒) | 一七一七년 정유(丁酉) 十二월 八일 | | 효(孝)로써 정려(旌閭)를 하였다
| 배(配) | 남원윤씨(南原尹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六三三년 계유(癸酉) | 졸(卒) | 一六八五년 을축(乙丑) 二월 十八일 | 부(父) | 문(文)목사(牧使) 형성(衡聖) | 조(祖) | 승지(承旨) 호(皓) | 증조(曾祖) | 참봉(叅奉) 민신(民新) | 외조(外祖) | 좌랑(佐郞) 이사민(李師閔) 본(本) 완 | | 산(完山) | 묘(墓) | 홍성 조휘곡(朝暉谷)
| | 을좌(乙坐) 합폄(合窆) | 墓碣 | 갈(碣)은 족제 대제학(大提學) 창협(昌 | | 協)이 짓고 아들 시보(時保)가 썼다 |
| | 상용--광환--수홍 | 婿 | 이성인(李聖麟) | | 초간 등재 | 本 | 전주(全州) | | 군수(郡守) | | 증(贈)참의(叅議) | 부(父) | 좌랑(佐郞) 시필(時苾) | 子 | 언순(彦純) 지평(持平) 증참판(贈叅判) | 子 | 언륜(彦綸) 찰방(察訪) | 女 | 심봉서(沈鳳瑞) 청송인(靑松人) 증찬성 | | (贈贊成) 父감사(監司) 증판서(贈判書) | 女 | 권생(權生) 父목사(牧使) 추(樞) | 女 | 권상주(權尙周) 안동인(安東人) 父음정 | | (蔭正) 세경(世經) | 女 | 정전(鄭敟) 광주인(光州人) 父군수(郡守) | | 시경(時卿) | 女 | 송징규(宋徵奎) 여산인(礪山人) 현감(縣 | | 監) 증찬성(曾贊成) 父목사(牧使) 증판 | | 서(贈判書) 광순(光洵) |
| | 상용--광환--수홍 시원 | 系子 | 성운(盛運) | | 초간 등재 | 생부(生父) | 수인(壽仁) | 자(字) | 태이(泰而) | 생(生) | 一六三三년 계유(癸酉) | | 임진(壬辰) 사마양시(司馬兩試) | 졸(卒) | 一六九一년 신미(辛未) 五월 二十九일 | 배(配) | 전주류씨(全州柳氏) | 생(生) | 一六三五년 을해(乙亥) | 졸(卒) | 一六九七년 정축(丁丑) 九월 十七일 | 부(父) | 대사헌(大司憲) 경창(慶昌) | 묘(墓) | 양주와공면율북(瓦孔面栗北)
| | 임좌(壬坐) 합폄(合窆) |
| 十八世 |
| 광현--수인--성우 순행 | 子 | 시보(時保) | | 초간 등재 | 자(字) | 사경(士敬) | 호(號) | 모주(茅洲) | 생(生) | 一六五八년 무술(戊戌) 六월 十일 | | 갑자(甲子) 진사(進士) | | 선공감(繕工監) 부정(副正) | | 무주(茂朱) 부사(府事) | 저서 | 모주집(茅洲集) | 졸(卒) | 一七三四년 갑인(甲寅) 七월 二十二일 | 배(配) | 파평윤씨(坡平尹氏) | 생(生) | 一六五六년 병신(丙申) | 졸(卒) | 一七○二년 임오(壬午) 十一월 一일 | 부(父) | 군수(郡守) 항(抗) | 조(祖) | 부사(府使) 홍거(鴻擧) | 증조(曾祖) | 서윤(庶尹) 흡(熻) | 외조(外祖) | 참판(叅判) 현주(玄洲) 이소한(李昭漢) | | 본(本) 연안(延安) | 배(配) | 한산이씨(韓山李氏) | 생(生) | 一六八三년 계해(癸亥) | 졸(卒) | 一七五四년 갑술(甲戌) 四월 三十일 | 부(父) | 여직(汝直) | 조(祖)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육(稑) | 증조(曾祖) | 찰방(察訪) 경배(敬培) | 외조(外祖) | 이성(李珹) 본(本) 예안(禮安) | 묘(墓) | 보령군 청소면 진죽리 서모도(西茅島)
| | 임좌(壬坐) 삼합폄(三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 광현--수인--성우 영행 | 子 | 시걸(時傑) | | 초간 등재 | 자(字) | 사흥(士興) | 호(號) | 난곡(蘭谷) | 생(生) | 一六五三년 계사(癸巳) 十二월 五일 | | 신유(辛酉) 진사(進士) | | 갑자(甲子) 문과(文科) | | 한원(翰苑) | | 전라도(全羅道) 관찰사(觀察使) | | 대사간(大司諫) | 저서 | 난곡집(蘭谷集) | | 년보(年譜) | 졸(卒) | 一七○一년 신사(辛巳) 六월 二十八일 | | 증(贈) 좌찬성(左贊成) | 시호(諡號) | 헌간(獻簡)嚮忠內德(향충내덕) 一德不懈
| | (일덕불해)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
| | 이 헌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 | 간이다.一八八八
| 배(配) | 청송심씨(靑松沈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六五三년 계사(癸巳) | 졸(卒) | 一七一一년 신묘(辛卯) 一월 六일 | 부(父) | 목사(牧使) 서견(瑞肩) | 조(祖) | 참판(叅判) 연(演) | 증조(曾祖) | 진사(進士) 대형(大亨) | 외조(外祖) | 목사(牧使) 증(贈)이조(吏曹)참판(叅判) | | 황수(黃瀡) 본(本) 창원(昌原) | 묘(墓) | 조휘곡(朝暉谷) 선조(先兆) 아래
| | 합폄(合窆) | 墓碣 | 지(誌)는 문형(文衡) 김진규(金鎭圭)가 | | 짓고 갈(碣)은우상(右相) 이의현(李宜 | | 顯)이 지었다.좌상(左相) 민진원(閔鎭遠) | | 이 쓰고 부인(夫人) 지(誌)는 족숙 | | 삼연선생(三淵先生)이 지었다 |
| | | 광환--수홍--성운 서행 | 子 | 시원(時元) | 자(字) | 원중(元重) | 호(號) | 남은옹(南隱翁) | 생(生) | 一六七二년 임자(壬子) 九월 十七일 | | 마전(麻田) 현감(縣監) | 졸(卒) | 一七五四년 갑술(甲戌) 七월 二일 | 배(配) | 안악이씨(安岳李氏) | 생(生) | 一六七二년 임자(壬子) | 졸(卒) | 정묘(丁卯) 五월 九일 | 부(父) | 목사(牧使) 세달(世達) | 조(祖) | 현령(縣令) 예복(禮福) | 증조(曾祖) | 상오(相五) | 외조(外祖) | 김운만(金雲萬) 본(本) 김해(金海) | 묘(墓) | 진주안간면동엽산(晉州安磵面洞葉山)
| | 유좌(酉坐) 합폄(合窆) |
| 十九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