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인--성우--시보 이진 | 子 | 순행(純行) | | 초간 등재 | 자(字) | 성중(誠中) | 호(號) | 추암(揫庵) | 생(生) | 一六八三년 계해(癸亥) 三월 三일 | | 갑오(甲午) 생원(生員) | | 보은(報恩) 군수(郡守) | | 증(贈) 이조(吏曹) 참의(叅議) | 저서 | 추옹유고(揫翁遺稿) | 졸(卒) | 一七二一년 신축(辛丑) 十월 十八일 | | 경종이 지병이 있어 장성한 뒤에도 후사가
| | 없어서 삼종(三宗) 혈통(血統) 중에
| | 연잉군(延㭁君)이 유일하여 선대왕(先大王)
| | 께서 내전(內殿)에 유탁(遺托) 하였었
| | 다 흉도(凶徒)들이 비밀히 도와주기로 체
| | 결하고 아들에게 전함에 이익을 생각하여
| | 내지(內旨)를 교묘히 꾸며 종실중에 선택
| | 하여 이어야 한다는 후사에 대한 음모를
| | 공이듣고 당시 조신들인 사대신에 알리니
| | 대신들이 대비전에 건저(建儲)를 세우기를
| | 청하니 대비전에서 손수 써서 대신들에게
| | 연잉군을 세제(世弟)로 삼는다는 교서를
| | 내렸다.국본(國本)이 정해지자 비로소
| | 인심이 모두 즐거워하였다. 이는 신축년
| | 八월의 일이다.
| 배(配) | 함종어씨(咸從魚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六八三년 계해(癸亥) | 졸(卒) | 一七六七년 정해(丁亥) 十월 二十九일 | 부(父) | 우윤(右尹) 증(贈)영의정(領議政) 사형 | | (史衡) | 조(祖) | 감사(監司) 진익(震翼) | 증조(曾祖) | 판관(判官) 한명(漢明) | 외조(外祖) | 승지(承旨) 류거(柳椐) 본(本) 전주 | | (全州) | 묘(墓) | 광주군 중부면(中部面) 엄미리(奄尾里)
| | 남한동(南漢東) 도마치(道馬峙) 서쪽 기
| | 슭
| | 갑좌(甲坐) 합폄(合窆) | 墓碣 | 지(誌)는 아들 이곤(履坤)이 지었다 |
| | 수인--성우--시걸 | 婿 | 맹숙서(孟淑舒) | | 초간 등재 | 本 | 신창(新昌) | 부(父) | 현감(縣監) 만석(萬錫) | 子 | 필대(必大) | 子 | 호대(浩大) |
| 二十世 |
| | | 성우--시보--순행 도순 | 子 | 이진(履晋) | | 초간 등재 | 자(字) | 백소(伯昭) | 생(生) | 一七○三년 계미(癸未) 四월 二十七일 | | 증(贈) 이조(吏曹) 판서(判書) | 졸(卒) | 一七三七년 정사(丁巳) 一월 二十六일 | 배(配) | 창원황씨(昌原黃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三년 계미(癸未) | 졸(卒) | 一七三四년 갑인(甲寅) 十二월 六일 | 부(父) | 첨정(僉正) 석(晳) | 조(祖) | 수하(受河) | 증조(曾祖) |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흠(欽) | 외조(外祖)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민정한(閔挺漢) | | 본(本) 여흥(驪興) | 묘(墓) | 보령(保寧) 서모도(西茅島)
| | 해좌(亥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부인 묘지(墓誌)를 선어(善魚) 유봉(有 | | 鳳)이 지었다 | 배(配) | 한산이씨(韓山李氏) | | 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一二년 임진(壬辰) | 졸(卒) | 一七九八년 무오(戊午) 七월 十四일 | 부(父) | 사근(思近) | 조(祖) | 기홍(基弘) | 증조(曾祖) | 진사(進士) 여적(汝迪) | 외조(外祖) | 정유형(鄭維亨) 본(本) 온양(溫陽) | 묘(墓) | 보령군청소면진죽리모주공조(靑所面眞竹里茅洲
| | 公兆) 아래
| | 건좌(乾坐) |
| | 二十一世 |
| | | 시보--순행--이진 세근 | 子 | 도순(道淳) | | 경술 등재 | 자(字) | 자진(子眞) | 생(生) | 一七二○년 경자(庚子) 十一월 五일 | | 영천(永川) 군수(郡守) | | 수계(壽階) 가선대부(嘉善大夫) |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졸(卒) | 一八○○년 경신(庚申) 十一월 九일 | 배(配) | 달성서씨(達城徐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二一년 신축(辛丑) | 졸(卒) | 一七五七년 정축(丁丑) 十二월 十二일 | 부(父) | 명화(命華) | 조(祖) | 증(贈)참의(叅議) 종대(宗大) | 증조(曾祖) | 증(贈)정(正) 문제(文濟) | 외조(外祖) | 이망지(李望之) 본(本) 완산(完山) | 묘(墓) | 양주(楊州) 와부면(瓦阜面) 율석리(栗石
| | 里) 내곡(內谷)
| | 간좌(艮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 | 二十二世 |
| | | 순행--이진--도순 병익 | 子 | 세근(世根) | | 경술 등재 | 자(字) | 세지(世之) | 생(生) | 一七四六년 병인(丙寅) 五월 二十六일 | | 부평(富平) 부사(府使) | 졸(卒) | 一八一五년 을해(乙亥) 五월 一일 | 배(配) | 벽진이씨(碧珍李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四六년 병인(丙寅) | 졸(卒) | 一八一三년 계유(癸酉) 十一월 二十八일 | 부(父) | 봉사(奉事) 극건(克健) | 조(祖) | 생원(生員) 의보(義普) | 증조(曾祖) | 정조(挺朝) | 외조(外祖) | 서언경(徐彦慶) 본(本) 남양(南陽) | 묘(墓) | 남한(南漢) 동초월면(東草月面) 설월리
| | (雪月里)
| | 유좌(酉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 二十三世 |
| 이진--도순--세근 학균 | 子 | 병두(炳斗) | | 경술 등재 | 자(字) | 산여(山汝) | 생(生) | 一七七五년 을미(乙未) 八월 二十일 | | 을유(乙酉) 생원(生員) | | 음보(蔭譜) | | 선산(善山) 부사(府使) | 졸(卒) | 一八五二년 임자(壬子) 三월 十八일 | 배(配) | 창원황씨(昌原黃氏) | 생(生) | 一七七三년 계사(癸巳) | 졸(卒) | 一八四四년 갑진(甲辰) 十二월 十七일 | 부(父) | 길언(吉彦) | 조(祖) | 과(薖) | 증조(曾祖) | 응인(應寅) | 외조(外祖) | 윤성(尹鍟) | 묘(墓) | 충주 소태양면(蘇台陽面) 인다동(仁多洞)
| | 계좌(癸坐) 합폄(合窆) |
| | 이진--도순--세근 만균 | 子 | 병성(炳星) | | 경술 등재 | 자(字) | 복여(福汝) | 생(生) | 一七六九년 기축(己丑) 十월 一일 | | 증(贈) 이조(吏曹) 판서(判書) | 졸(卒) | 一八○○년 경신(庚申) 十一월 二十三일 | 배(配) | 전주이씨(全州李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六九년 기축(己丑) | 졸(卒) | 一八二七년 정해(丁亥) 七월 二十일 | 부(父) | 진사(進士) 태혁(泰爀) | 조(祖) | 신수(頣秀) | 증조(曾祖) | 참봉(叅奉) 극연(克淵) | 외조(外祖) | 무(武)총관(摠管) 류진하(柳鎭夏) 본 | | (本) 진주(晋州) | 묘(墓) | 설월리선조(雪月里先兆) 오른쪽에서 一九八
| | ○년 七월 양주(楊州) 율곡리(栗谷里)
| | 내곡(內谷) 선조(先兆) 아래로 이장
| | 자좌(子坐) 합폄(合窆) |
| | 이진--도순--세근 정균 | 子 | 병익(炳翼) | | 경술 등재 | 자(字) | 취여(聚汝) | 생(生) | 一七六五년 을유(乙酉) 十월 二十二일 | | 임자(壬子) 생원(生員) | | 선공감(繕工監) 부봉사(副奉事) | 졸(卒) | 一八三九년 기해(己亥) 十二월 一일 | 배(配) | 해평윤씨(海平尹氏) | | 증(贈)정부인(貞夫人) | 생(生) | 一七六二년 임오(壬午) | 졸(卒) | 一八三五년 을미(乙未) 閏 六월 二十四일 | 부(父) | 교리(敎理) 석열(錫烈) | 조(祖) | 사동(師東) | 증조(曾祖) | 도정(都正) 득인(得仁) | 외조(外祖)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덕중(李德中) | | 본(本) 완산(完山) | 묘(墓) | 남한(南漢) 서의곡면(西義谷面) 학현리
| | (鶴峴里)
| | 축좌(丑坐) 합폄(合窆) | 墓碣 | 묘지(墓誌)는 아들 정균(鼎均)이 짓고 | | 묘표(墓表)는 아들 석균(奭均) 이 지었 | | 다.음기(陰記)는 족질(族侄) 세균(世均) | | 이 쓰고 전면(前面)은 판서(判書) 이 | | 종우(李鍾愚)가 썼다 |
| | 二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