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습돈 | 始祖 | 선평(宣平) | | 초간 등재 | | 삼한(三轉) 벽상공신(壁上功臣) | | 삼중(三重) 대광(大匡) | | 태사(太師) | | 아부(亞父) | | 新羅末以古昌郡城主佐高麗大祖破甄萱策功爲三轉
| | 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亞父亨安東府太司廟退溪李
| | 滉撰記廟庭碑後孫判書羲淳按本道時撰幷書墓安東
| | 府三十里西後古台庄里天燈山在麗後失其傳仁祖丙
| | 寅按輿地勝覽所祭壇子坐以祀後孫大提學昌協記有
| | 表神道碑後孫秘書丞寗漢撰後孫同敦寧容鎭書後孫
| | 判書宗漢篆 신라말 고창성주로 있으면서 고
| | 려 태조 왕건을 도와 견훤을 격파하는데
| | 큰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 아
| | 부에 봉해졌다 안동부내에 묘우를 짓고 퇴
| | 계 이황이 기를 찬하고 후손 판서 희순이
| | 안동부사로 있을때 묘정비를 찬하고 또한
| | 썼다공의 묘는 안동부에서 삼십리 떨어진
| | 서후 태장리 천등산에 있었으나 고려 이후
| | 실전되었다인조 병인년에 동국여지승람의 기
| | 록에 따라 묘단을 자좌로 세우고 제사를
| | 지냈다후손 대제학 창협이 표기하고 신도비
| | 는 후손 비서승 영한이 찬했으며 후손 동
| | 돈영 용진이 썼으며 후손 판서 종한이 전
| | 했다
|
| 시조(始祖) |
| | ----선평 여기 | | 습돈(習敦) | | 초간 등재 | | 공수부정(公須副正) | | 자시조지부군기간(自始祖至府君其間)세계견일
| | (世系見佚)혹운(或云)초미상일(初未嘗佚)
| | 시조에서부터 부군에 이르기까지 세계를
| | 잃었다고도 하고 혹은 처음부터 잃지 않았
| | 다고도 한다
|
| 一世 |
| | 삼근--계행--극인 옥 | 子 | 덕보(德寶) | | 초간 등재 | 학력 | 충순위(忠順衛) | 배(配) | 단양지씨(丹陽池氏) | 부(父) | 철동(哲仝) | 조(祖) | 군수(郡守) 자청(自淸) | 증조(曾祖) | 현령(縣令) 광보(光寶) | 외조(外祖) | 김상현(金尙賢) | 묘(墓) | 달수동(達水洞) 참봉공(叅奉公) 묘소 오
| | 른쪽 둘째 산등성
| | 손좌(巽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二世 |
| | 계행--극인--덕보 응건 | 子 | 옥(沃) | | 초간 등재 | 자(字) | 계언(啓彦) | 배(配) | 성주이씨(星州李氏) | | 숙부인(淑夫人) | 부(父) | 참봉(叅奉) 겸형(謙亨) | 조(祖) | 진사(進士) 양(陽) | 증조(曾祖) | 목사(牧使) 우(友) | 외조(外祖) | 김석복(金碩福) 본(本) 수원(水原) | 묘(墓) | 안동 내임서(內臨西) 미천(眉川) 지곡
| | (枝谷)
| | 경좌(庚坐) 합폄(合窆) | | 묘표(墓表)가 있다 |
| 三世 |
| | 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