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득우--혁--삼근 학조 | 子 | 계권(係權) | | 초간 등재 | 생(生) | 一四一○년 경인(庚寅) | | 한성부(漢城府) 판관(判官) | 상훈 | 一四五五년 세조 원종공신 三등 녹훈
| 졸(卒) | 一四五八년 무인(戊寅) | | 의령남씨(宜寧南氏) 족보를 상고해보니 제
| | 평공(齊平公)은 좌찬성 남을경(南乙敬)의
| | 손서(孫婿)이고 찬성(贊成) 남적(南績)
| | 은 곧 을경(乙敬)의 아들이며 그는 우
| | 의정(右議政) 남재(南在)의 종형제이다.
| | 지금 옛기록에 의하면 직명(職名)과 대
| | 수(代數)가 모두 도착(倒錯) 된다 부군
| | (府君) 四세의 선적(先蹟)을 상고 해보
| | 니 신씨(申氏)의 화해사전(華海師全)과
| | 원천석(元天錫) 운곡집(耘谷集)에는 부군
| | (府君)의 호(號) 는 묵둔(默遁) 이다
| | .
| 묘(墓) |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豊山邑)소산리(素
| | 山里)역동(嶧洞) 뒤
| | 건좌(乾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묘갈은 후손(後孫) 응순應淳)이 경상도관 | | 찰사 재임시 개수(改竪)하고 썼다 | 배(配) | 예천권씨(醴泉權氏) | | 영인(令人) | 생(生) | 一四○九년 기축(己丑) 二월 二十二일 | 졸(卒) | 一四九六년 병진(丙辰) | 부(父) | 예문대제학(藝文大提學) 맹손(孟孫) | 조(祖) | 성주목사(星州牧使) 상(詳) | 증조(曾祖) | 영해부사(寧海府使) 군보(君保) | 외조(外祖) | 종성부사(鍾城府使) 남적(南績) 본(本) | | 의령(宜寧) | 묘(墓) | 부군조(府君兆) 뒤 . 구보(舊譜) 에는
| | 임좌
| | 건좌(乾坐) | | 묘표(墓表)가 있다 | 墓碣 | 묘비후면에 자손록이 있다. |
| 十世 |
| | | 혁--삼근--계권 정 | 子 | 영전(永銓) | | 초간 등재 | 생(生) | 一四三九년 기미(己未) | | 통훈대부(通訓大夫) | | 행(行)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 | 비안(比安) 현감(縣監) | | 지례(知禮) 현감(縣監) | | 용궁(龍宮) 현감(縣監) | | 합천(陜川) 현감(縣監) | 상훈 | 성종좌리원종공신(佐理原從功臣) 성종二년
| | 녹권(錄卷)하사(下賜)
| 졸(卒) | 一五二二년 임오(壬午) | | 종一八대손 충현(忠顯)이 비안공구택 현판
| | 을 썼다
| 묘(墓) | 역동(嶧洞) 판관부군조(判官府君兆) 동쪽
| | 기슭 묘표가 있었는데 원래 각자가 뚜렷
| | 하였으나 자획이 흐릿해져서 자손이 합의하
| | 여 一九七三년 묘갈을 개수(改竪) 했다
| | 자좌(子坐) | 墓碣 | 종一七대손 통덕랑 윤동(潤東)이 묘갈명을 | | 지었다 | 배(配) | 탐진안씨(耽津安氏) | | 숙인(淑人) | 부(父) | 교도(敎導) 겸(謙) | 조(祖) | 참판(叅判) 상진(尙縝) | 증조(曾祖) | 부사(府使) 속(涑) | 외조(外祖) | 주부(主簿) 김치기(金耻其) 본(本) 광 | | 산(光山) | | 문화류씨 족보를 보면 안씨(安氏)의 관적
| | (貫籍)은 충주(忠州)이다
| 묘(墓) | 부군조(府君兆) 뒤
|
| | 혁--삼근--계권 | 子 | 학조(學祖) | | 초간 등재 | 도호(道號) | 등곡(燈谷) | | 속명은 영형(永衡) 법명(法名)은 학조
| | (學祖) 도호(道號)는 등곡(燈谷) 또 황
| | 악산인(黃岳山人) 세조때 국사(國師) 였
| | 다. 학가산(鶴駕山) 중대사(中臺寺)에서
| | 출가하였으며 삼성산(三聖山) 삼막사(三
| | 幕寺) 등곡대(燈谷臺)에서 득도(得道)
| | 하였다 신미(信眉) 학열(學悅)과 같이
| | 월인석보(月印釋譜)를 간행 하였다. 一四
| | 六四년 세조 一○년 복천암(福泉庵)에서
| | 왕을 모시고 대법회(大法會)를 열었다 또
| | 천수경언해(千手經諺解)를 펴냈다 또 인
| | 수대비(仁粹大妃)의 명을 받을어 육조법보
| | 단경(六祖法寶壇經) 진언권공삼단시식문(眞
| | 言勸供三壇施食文)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
| | 陽水陸雜文)등 언해를 인출하였다 또 신비
| | (愼妃)의 명을 받아 승도(僧徒) 一○八
| | 명으로 대장경(大藏經) 三부를 인경(印經)
| | 하였고 자성대비(慈聖大妃)의 명을 받
| | 들어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 남명집언
| | 해(南明集諺解)등을 인출하였고 불정심경언
| | 해(佛頂心經諺解) 오대진언언해(五大眞言諺
| | 解) 영험략초언해(靈驗略初諺解) 반야심경
| | 언해(般若心經諺解)등을 간행하였다 중종
| | 갑술 一五一四년 학가산(鶴駕山) 광흥사
| | (廣興寺) 애련암(愛蓮庵)에서 입적하였다
| | 부도(浮屠)는 속리산(俗離山) 복천암(福
| | 泉庵)에 있다(보물 제一四一八호) 영정
| | (影幀)은 장성(長城) 백양사(白羊寺)와
| |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에 있다
|
| 十一世 |
| | | 삼근--계권--영전 홍 | 子 | 정(珽) | | 초간 등재 | 자(字) | 자정(子淨) | | 기유(己酉) 생원(生員) | 배(配) | 전의이씨(全義李氏) | 부(父) | 사직(司直) 순형(順亨) | 조(祖) | 박사(博士) 림(琳) | 증조(曾祖) | 주부(主簿) 효전(孝全) | 외조(外祖) | 판윤(判尹) 안시귀(安時歸) 본(本) 순 | | 흥(順興) | 묘(墓) | 개령현(開寧縣) 동쪽 쌍읍산(雙邑山)
| | 유좌(酉坐) |
| | 十二世 |
| | 계권--영전--정 철손 | 子 | 등(登) | | 초간 등재 | 자(字) | 중거(仲擧) | 생(生) | 一四八五년 을사(乙巳) | | 병자(丙子) 진사(進士) | 배(配) | 의성김씨(義城金氏) | 부(父) | 참봉(叅奉) 만공(萬恭) | 묘(墓) | 선영계(先塋階) 아래
| | 합폄(合窆) |
| | | 十三世 |
| | 영전--정--등 귀철 | 系子 | 철손(喆孫) | | 계사 등재 | 생부(生父) | 적(積) | 원파(元派) | 예의소승공(생)파 | 구보(舊譜) | 여환(餘還) | 자(字) | 선경(善卿) | 배(配) | 상락김씨(上洛金氏) | 부(父) | 요(佬) | 묘(墓) | 부북(府北) 석증(石增)
| | 경좌(庚坐) 합폄(合窆) |
| | 영전--정--홍 손 | 子 | 상윤(象尹) | 자(字) | 은필(殷弼) | 배(配) | 김제김씨(金堤金氏) | 묘(墓) | 안동시(安東市) 일직면(一直面) 평팔리
| | (坪八里) 사기점(沙器店) 앞산
| | 간좌(艮坐) 상하분(上下墳) | | 묘표(墓表)가 있다 |
| | 十四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