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보        이름                이전   다음
  
  
  
  
十世
  
  
  
 혁--삼근--계행            세상
극신(克信)
초간 등재
자(字)가립(可立)
생(生)一四七四년 갑오(甲午)
무(武)  문천(文川)  군수(郡守)  
졸(卒)一五四八년 무신(戊申)
배(配)인천서씨(仁川徐氏)
숙인(淑人)
 부(父)직장(直長) 숙(叔)
배(配)함양박씨(咸陽朴氏)
숙인(淑人)
 부(父)직장(直長) 수용(守勇)
 묘(墓)예천군(醴泉郡) 호명면(虎嗚面) 직산리
(稷山里) 직곡(稷谷)
간좌(艮坐) 합폄(合窆)
묘표(墓表)가 있다
墓碣족손(族孫)청음(淸陰)상헌(尙憲)이 묘갈
명을 썼다
十一世
 삼근--계행--극신            
婿김익(金翌)
초간 등재
학력翌(김익)
 삼근--계행--극신            
婿이보경(李保慶)
초간 등재
  
 삼근--계행--극신            기량
세상(世商)
초간 등재
자(字)열경(列卿)
호(號)어락정(魚樂亭)
서애(西厓) 선생 문집중에 어락정(魚樂亭)
을 제목으로 한 기문이있는데 그 기문에
정자는 화산(花山) 동쪽 기슭 낙동강
(洛東江)에 있대어 있다(지금의 정자동)
정자의 주인 김군 세상(世商)은 비록 무
인이지만 효우(孝友)가 남달랐다고 향리의
사람들이 칭찬하였다. 만년에 이곳에 정
자를 짓고 낚시로 일삼았다. 내가 일찌기
그 정자 이름을 어락(魚樂)이라 지어
주었는데 지금 내가 이정자 밑을 지나가는
데 김군은 이미 고인이되었고 정자는 폐허
가 되어 잡초만 가득하고 뜰에는 오직 두
어 떨기 산국화 피어 있어 꺾으려는 가을
바람만 우수수 불고 가는구나 내가 슬픈
생각을 누를길없어 벽에다 시한편을 쓰고
갔다고 하였다.부군꼐서 어러움을 당하여
정자에 나가지 않았고 정자는 폐허가 되
었다. 정해년 실업리(實業里)로 이전 복
원하였다.
묘(墓)봉영(封塋) 이실전(失傳) 되어 천추의
한이되었는데 어락정에 자손들이모여 제단
(祭壇) 을 설치하기로 결정하고 그해 가을
어락정 안산(案山) 묘에 제단을 만들었

배(配)영천이씨(永川李氏)
 부(父)훈도(訓導) 수경(壽慶)
十二世
  
  
  
 계행--극신--세상            무경
기량(起亮)
계사 등재
자(字)경숙(慶淑)
생(生)一五六六년 병인(丙寅)
종사랑(從仕郞)  
졸(卒)一六一六년 병진(丙辰)
배(配)영월엄씨(寧越嚴氏)
 생(生)무진(戊辰)
 졸(卒)경오(庚午)
 부(父)치백(致伯)
 조(祖)희발(希發)
 증조(曾祖)문혜(文惠)
 외조(外祖)이동익(李同益) 본(本) 월성(月城)
 묘(墓)대동(垈洞)
손좌(巽坐) 상하분(上下墳)
묘표(墓表)가 있다
十三世
  
  
 극신--세상--기량            학호
무생(茂生)
계사 등재
자(字)군선(君善)
생(生)一六○○년 경자(庚子) 七월 五일
졸(卒)一六五八년 무술(戊戌) 三월 四일
배(配)아주신씨(鵝洲申氏)
 부(父)술(述)
 조(祖)재복(在福)
 증조(曾祖)효운(孝運)
 외조(外祖)박민철(朴敏輟) 본(本) 밀양(密陽)
 묘(墓)대동(垈洞)
손좌(巽坐) 상하분(上下墳)
 극신--세상--기량            시산
무경(茂京)
계사 등재
자(字)치선(致善)
생(生)一五八八년 무자(戊子)
졸(卒)一六四九년 기축(己丑) 五월 十九일
묘(墓)대동(垈洞)
해좌(亥坐)
배(配)함안조씨(咸安趙氏)
 부(父)덕건(德建)
 묘(墓)대동(垈洞)
건좌(乾坐)
十四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