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五世 |
| 남수--희--자 자징 | 子 | 처상(處商) | | 초간 등재 | 생(生) | 一三四九년 기축(己丑) | 졸(卒) | 一월 十三일 | 묘(墓) | 수남(水南) 발리산(鉢里山) 원다곡(遠多
| | 谷)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생(生) | 一三四七년 정해(丁亥) | 묘(墓) | 같은 둔덕
|
| | | | 六世 |
| 희--자--처상 귀생 | 子 | 자징(自澄) | | 초간 등재 | 생(生) | 경오(庚午) | | 호장(戶長) | 졸(卒) | 十월 十九일 | 묘(墓) | 수남(水南) 발리산(鉢里山) 원다곡(遠多
| | 谷)
| | 합폄(合窆) | 배(配) | 문화류씨(文化柳氏) | 생(生) | 一三九○년 경오(庚午) | 묘(墓) | 같은 둔덕
|
| | 희--자--근중 규 | 子 | 지철(之哲) | | 초간 등재 | | 언양(彦陽) 현감(縣監) | 묘(墓) | 안동시(安東市) 와룡면(臥龍面) 주계리
| | (周溪里) 나마곡(羅馬谷) 산一八번지에 二
| | ○一五년 四월一九일 자손들의 합의로 설단
| | 을 했다
| | 자좌(子坐) | 墓碣 | 묘비명(墓碑銘)은 족손 위현(渭顯)이짓고 | | 족손 양동(洋東)이썼다. | 배(配) | 모관모씨(某官某氏) |
| | 희--자--근중 견기 | 子 | 언적(彦迪) | | 초간 등재 | | 참봉(叅奉) | 배(配) | 풍산류씨(豊山柳氏) | 묘(墓) | 부군의 묘소가 실전되어 자손들의 한이 되
| | 었으나 문중의 중의를 모아 제단을 설치하
| | 기로 하고 계묘년 一○월에 안동부 서쪽
| | 송현동 사지곡에 자좌로 제단을 설치했다
| 墓碣 | 제단 명(銘)은 종예손(從裔孫) 정한(鼎 | | 漢)이 짓고 진성(眞城) 이관호(李瓘鎬) | | 가 썼다 |
| | 七世 |
| 자--처상--자징 진 | 子 | 귀생(貴生) | | 초간 등재 | 생(生) | 기유(己酉) | | 호장(戶長) | 졸(卒) | 三월 十五일 | 묘(墓) | 수남발리산(水南鉢里山) 원다곡(遠多谷)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생(生) | 병오(丙午) | 묘(墓) | 所設壇行祀事著考證錄)
|
| | 자--근중--지철 신 | 子 | 규(揆) | | 초간 등재 | | 흥위위(興威衛) 정용낭장(精勇郎將) | 배(配) | 안동권씨(安東權氏) | 부(父) | 도총제(都摠制) 희달(希達) | 조(祖) | 장군(將軍) 정주(定柱) | 증조(曾祖) | 삼중대광(三重大匡) 현성군(玄城君) 용 | | (鏞) |
| | 자--근중--언적 근 | 子 | 견기(堅器) | | 초간 등재 | | 별장(別將) | 배(配) | 상락김씨(上洛金氏) | 묘(墓) | 제단소(祭壇所) 안동시 송현동 사야곡(沙
| | 也谷)
| | 축좌(丑坐) |
| | 八世 |
| | 근중--지철--규 효영 | 子 | 신(莘) | | 초간 등재 | | 영동(永同) 현감(縣監) | 배(配) | 예안김씨(禮安金氏) | 부(父) | 보승낭장(保勝郞將) 을방(乙邦) | 조(祖) | 문과(文科) 광정대부(匡靖大夫) 현주(玄 | | 柱) | 증조(曾祖) | 정의대부(正義大夫) 좌사(左司) 의옥(議 | | 玉) | | 조부 현주는 첨의시랑동지찬성사(行僉議侍郞
| | 同知贊成事)를 지냈다.
|
| | 근중--언적--견기 신 | 子 | 근(謹) | | 초간 등재 | 배(配) | 풍산류씨(豊山柳氏) | 묘(墓) | 제단소(祭壇所) 안동시 송현동 사야곡(沙
| | 也谷)
| | 축좌(丑坐) |
| | 九世 |